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석
관여
출석
가입
조인
곁듣기
d라이브러리
"
참여
"(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Bridge. 뇌출혈부터 암까지 뱀독으로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1961년 페낭에 뱀독연구소를 설립하고, 1962년 뱀독에 대해 관심 있는 과학자와 의사들이
참여
하는 국제독성학회를 창립했다. 1963년에는 영국 리버풀 열대의과대학에 다시 뱀독연구소를 만들어 뱀독 성분을 분석하는 효소면역분석법을 개발했다. 이 공로로 이 연구소는 세계보건기구(WHO)의 항뱀독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선거에 활용되며, 시각화 사례도 풍부하다. ‘뉴욕타임스’는 2012년 미국 대선에
참여
하는 모든 후보에 대해 선거 자금 규모, 모금 현황 등을 담은 복잡한 대용량 데이터를 시각화했다.19대 총선부터 인터넷, SNS, 모바일 메신저 등을 이용한 사전 선거운동과 당일 투표 독려가 가능해졌다. 그 어느 ... ...
수학동아 독자기자단의 첫 출발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권한과 역할을 부여받았습니다. 우선 독자기자단은 ‘독자 탐방’ 기사에
참여
할 수 있어요. 수학 연구기관을 방문해 수학자들을 만날 수 있는 특권을 누릴 수 있죠. 또한 매달 수학동아의 모든 기사와 만화를 읽고, 소감문을 작성하는 것은 물론 수학 뉴스를 전하게 됩니다. 또한 수학동아 ... ...
실패를 새로운 아이디어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제외하고는 출퇴근 시간을 강제하지는 않았다. 학생들이 다양한 학회에 되도록 많이
참여
해 연구에 대한 동기 부여를 받게 했다. 학회 기간이 끝난 후에는 이틀 정도 학생들끼리 어울릴 수 있는 자유시간을 줬다. 덕분에 재충전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이러한 자유로운 분위기가 바로 새로운 ... ...
입시를 목표로 공부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것도 쌓였다. 하영 군의 포트폴리오는 화려하다. 각종대회 수상경력부터 강연, 과학캠프
참여
까지 가짓수가 60을 넘는다. 하지만 그는 “이걸 스펙이라고 말하지 않는다”며 “상보다 대학교 3학년 과정까지 혼자 공부했다는 게 훨씬 자랑스럽다”고 한다. 그저 하고 싶은 연구를 한 흔적일 뿐이다 ... ...
[시사] 수학으로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저서 과 에서 시장의 자율 조정 기능을 표현한 말이다. 그는 시장에
참여
한 사람들이 각자의 이익를 위해 경쟁하며, 수요와 공급을 움직이기 때문에 가격이 자율적으로 결정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것을‘보이지 않는 손’이라고 표현했다.아담 스미스는 개인들의 경제적 ... ...
짝짓기가 낳은 ‘아버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러브조이의 학설은 맞는 것일까요.[사람은 유인원과 달리 남자가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
한다.]러브조이는 틀렸다?러브조이 학설은 사회적으로 엄청난 반응을 일으켰습니다. 이전에 사람들은 핵가족이 자본주의와 시장경제의 부산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러브조이의 말이 맞다면 남자와 ... ...
해바라기! 지구를 지켜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알게 되고 느낀 점도 있었다”고 말했다.‘민(民)·관(官)·학(學)’ 교육 프로그램에도
참여
했다. 파주시민회와 파주시 종합자원봉사센터가 함께 하는 DMZ생태학교 프로그램이다. 함께 환경 탐사도 하고 캠페인도 한다. 이런 활동을 모아 책도 낸다.김홍수 선생님은 환경 탐사와 캠페인 그리고 실천이 ... ...
[3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주소확인을 위한 정보 제공은 법적 근거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때문에 모바일 경선
참여
자의 주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법률 개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모바일 투표 자체도 논쟁거리다. 유권자들에게 당의 국회의원 출마자를 직접 고를 수 있게한다는 의미가 있지만 비밀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조금씩이긴 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낮아졌다. 3주가 지나도 멈추지 않았다. 연구에
참여
한 시드니 나겔 교수는 “3주는 너무 지루해 우리가 더 이상 지켜볼 수 없는 한계였을 뿐”이라고 말했다. 이렇게 구겨진 종이는 시간이 흐를수록 단단함이 점점 줄어들었다. 왜일까. 아직은 아무도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