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적
도서
book
저서
책자
서책
북
d라이브러리
"
책
"(으)로 총 3,53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것이다.”중국의 대문호 루쉰(魯迅)의 말대로 아무리 고상한 사람도 시장기가 돌면
책
을 덮고 먹을 것을 찾아 나서기 마련이다. 그러나 생각을 달리해보면 끼니 때만 잠깐 먹는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순수하게 음식을 씹는 데만 걸리는 시간을 따지면 사람은 하루 평균 1시간 내외인 반면 사람과 ... ...
단군세기의 행성직렬 기록은 조작됐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대한 전통시대 사람들의 이해수준을 감안하면 오성취합을 되짚어 계산하고 이를
책
에 적어 조작하는 일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또한 왕조의 흥망이나 역성혁명이라는 오성취합이 갖는 점성술적인 의미를 생각하면 기록을 조작할 이유도 충분하다. 우리는 가끔씩 옛날 사람들의 지혜에 대해 ... ...
암정복 꿈꾸는 '생명설계도' 지킴이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길이를 결정해 잘라내면 PCNA나 DNA 중합효소 같은 단백질이 뒤틀린
책
장을 바로 잡고
책
을 다시 제자리에 꼽는다.최 단장은 2000년 창의연구단을 시작한 뒤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같은 권위 있는 학술지에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NER의 과정을 밝혔다. 올해 초에는 ‘유럽연합생화학지’(FEBS ... ...
햇볕 쬐면 하루가 길어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했죠. 그 결과 사람들의 신체리듬이 평균 24.2시간에서 25시간으로 늘어났어요. 한 시간 더
책
을 읽거나 파티에서 놀 수 있다는 뜻이죠. 비행시차나 야근 등으로 힘들어 하는 사람들에게도 이 연구가 도움이 될 거예요 ... ...
말레이시아 첫 우주인 ISS 입성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우주인을 꿈꿨다. 밤하늘을 보면서 지구 밖에 생명이 있을지 궁금했다. 우주에 대한
책
을 읽으며 언젠가 내 꿈을 이루리라 다짐했다. 당시 우주는 접근하기 어려운 분야였기 때문에 꿈을 간직한 채 과학을 공부했고 의사가 됐다. 우주인을 선발한다는 공고를 봤을 때 ‘이건 운명’이라고 생각했다 ... ...
PART1 투표는 이성보다 감정이 우세?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연설과 모호한 정
책
으로 미국 역사상 최악의 대통령이란 평가를 받았다. ‘표지로
책
을 판단하지 말라’는 말이 있듯 정치인이 홍보하는 ‘표지’에 휘둘리기 전에 ‘내용’을 꼼꼼히 짚어봐야 할 때다. *컴퓨터모핑기술이미지를 변화시키는 컴퓨터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두 장 이상의 사진에서 ... ...
무 기자의 취재노트로 건강 365일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함께 있는 듯한 생동감을 준다.여성과학자와 어린 슈반느가 만들어가는 과학수업. 이
책
을 읽으며 반성도 많이 했다. 그동안 교과서 진도에만 연연하며 수업한 내 자신을 되돌아봤다. 당대 최고의 과학자였지만 어린 학생의 눈높이에 맞춰 수업을 하던 퀴리부인의 모습에서 내가 학교 현장에서 해야 ... ...
시력 9.0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근시일 때는 14.9%, 부모 모두 근시가 없을 때는 7.6%만이 근시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
책
읽는 시간과 시력 사이에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드러나지 않았다. 시력은 환경이 아닌 인종이나 유전의 영향을 받는다는 뜻이다. 독수리눈에 색 필터 있다?일반적으로 조류는 시력이 6.0이라고 알려져 있다. ... ...
물고기자리 춘분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프톨레마이오스는 히파르쿠스의 기록을 토대로 ‘테트라비블로스’라는 점성술
책
을 남겼다. 그는 여기에 황소자리에서 시작해 양자리와 물고기자리로 움직이는 춘분점의 위치를 상세히 다뤘다.춘분점은 기원전 4525년경부터 황소자리에 있다가 기원전 1875년경부터 양자리로 넘어갔다. 기원전 10 ... ...
가을들판 三色이야기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꿀이나 연어가 먼저 떠오르지만 과일도 좋아하는 편이다. 지난해 ‘사과 이야기’라는
책
을 펴낸 영국 옥스퍼드대 베리 주니퍼 교수는 “오늘날 품종 이름이 2만 가지나 되는 사과는 단 하나의 야생종에서 비롯됐다”며 “이 종은 오늘날 카자흐스탄 지역에 자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나무에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