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동
작용
행위
실행
동작
행동거지
몸짓
d라이브러리
"
활동
"(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직접 조사한다. 뉴질랜드의 타우포 화산지대, 아프리카 나미비아 같이 화성의 화산
활동
과 유사한 지질현상이 나타나는 곳에서 해마다 진행되고 있다.2013년 서호주로 탐사를 갔을 때 호주화성협회 책임자인 조나난 클라크 박사와 만난 적이 있다. “스페이스워드 바운드 프로그램의 목표는 미래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 터키(3680kcal), 미국(3639kcal)이 그 뒤를 이었다. 과연 인간의 몸은 이처럼 엄청난 ‘먹이
활동
’을 감당할 수 있을까?결론부터 이야기하자. 인간의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전혀 돼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매우 다양한 종류의 동식물을 자주, 그리고 어마어마하게 많이 먹고 있다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그 주인공이다.인간의 DNA는 자외선이나 각종 발암물질에 손상받기 쉽다. 정상적으로 대사
활동
을 하는 과정에서도 종종 DNA 손상이 생긴다. 그럼에도 인간의 유전물질이 파괴되지 않고 보존되는 이유는 다양한 DNA 복구시스템이 있기 때문이다. DNA 손상을 복구하지 못하면 노화나 암 발생 같은 결과를 ... ...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기법을 연구 중입니다.정용권 환경과 관련된 연구는 어떤 걸 하시나요?정은혜 광업
활동
을 할 때 생기는 오염수 처리를 연구하고 있어요. 오염수에 생각보다 유용한 자원들이 많이 녹아 있거든요. 그냥 버리기엔 아까운 물이죠. 그런 자원을 효율적으로 얻어내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 이걸 자원 ... ...
“모든 변화는 잡지 한 권에서 시작됐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요즘 정 교사는 아이들이 잡지에 담긴 내용을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도록 특별한
활동
을 하고 있다고 해요. 를 다 읽은 친구들이 잡지 내용을 토대로 퀴즈를 내서 교실 한편에 있는 퀴즈함에 넣는 거예요. 이렇게 모인 퀴즈 쪽지를 한 달에 한 번씩 꺼내서 반 아이들 모두가 함께 ... ...
뇌의 미시순환계를 보는 장치, 한국인이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전극체를 다발로 묶어 뇌신경의 여러 지점에 꽂으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뇌신경
활동
을 측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메소드’ 10월 12일자에 실렸다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말했다.사실 기자는 네팔에 오기 전까지 학생들을 현지로 보내는 방식의 봉사
활동
에 대해 회의적이었다. 그 비용으로 현지 주민들에게 필요한 물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지 주민들에게도, 한국 봉사단원들에게도 마음과 마음이 만나는 시간은 다른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세계 각국의 과학계 리더가 될 청소년들이 친목을 다지고, 이를 바탕으로 공동연구
활동
을 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한국 문화와 과학기술 수준을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고 말했다.과학 꿈나무를 위한 격려와 동기부여IJSO의 또 다른 특징은 시험을 통해 세계 과학 꿈나무들에게 ... ...
[참여] 우리 학교 수학축제로 놀러 오세요! 호곡중 수학원정대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직접 만들 계획도 갖고 있다. 앞으로도 재밌고 즐거운 수학을 찾아 떠나는 수학원정대의
활동
이 더욱 기대된다.[클리노미터★기준면에 대한 경사를 측정하는 기기.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당시 김제완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는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 객원교수로
활동
하고 있었다. 올해 노벨물리학상의 주인공들과 같은 중성미자(뉴트리노)를 연구하는 입자물리학자인 그는 SN1987A 초신성에서 방출된 중성미자 연구를 준비하기 위해 도서관을 찾았다가 놀라운 발견을 하게 된다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