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수학기반 산업데이터해석 연구센터’가 개발한 동형암호 프로그램 ‘혜안(HEAAN)’은
활용
범위와 연산 속도 등에서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수학기반 산업데이터해석 연구센터는 2017년 7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개설됐으며, 천 교수가 센터장을 맡아 산업계가 당면한 문제의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작은 나노와이어를 이용해 마음대로 휠 수 있는 투명 전극 등 다양한 분야에 나노기술을
활용
하고 있다. 유지범 나노기술연구협의회 회장은 “나노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면서 “나노 기술이 미래 첨단제품을 만드는 핵심기술로 자리 잡도록 전문가들이 ... ...
움직이고 부딪치는 운동량과 충격량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스칼라와 벡터운동하는 물체의 운동량과 충돌한 물체의 충격량을 포함한 역학적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물리량을 나타내는 스칼라와 벡터에 대 ... 스톤이 얇게 충돌할 수록 운동량은 적게 전달되는 것이다. 선수들은 이런 물리법칙을 잘
활용
해 다양한 전략과 전술을 구사한다 ... ...
[수학공작실] 종이로 끼워 만드는 육팔면체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선을 따라 4조각만 잘라낸다. 그러면 점선의 중점이 대칭점인 점대칭 도형이 되고, 이를
활용
해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다. 준정다면체인 육팔면체는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을 이어 붙여 유닛을 만들 수 있다.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을 무게중심으로 중심 분할해 ➋처럼 빨간색 선을 따라 잘라내면 된다 ... ...
[과학뉴스] ‘치매 단백질’ 연결고리 최초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타우 단백질도 늘어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베이트먼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활용
하면 앞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치료하는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doi:10.1016/j.neuron.2018.02.01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최소화’ 관점보다 ‘장점의 극대화’ 관점으로 각 멤버들의 개성과 역량을 최대한
활용
하려고 한다. 실제로 인기도 특정 멤버들에게 쏠리지 않고 각자의 성향에 맞게 고르게 분포돼 있다. 원팀이지만 멤버 각자가 저마다의 색깔을 잘 살려내고 있는 것이다. 아마존의 제프 베이저스 역시 혁신적인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바람이 많이 부는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비행하게 하는 등 복잡한 제어 기술에도
활용
하려면 연산 속도를 더욱 높이는 등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동형암호로 암호화한 상태에서는 연산 횟수의 제약이 있다는 것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예컨대 암호문을 더하거나 곱하는 과정에서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그때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싶다는 마음이 생겼는데, 기계공학이
활용
범위가 가장 넓을 것 같았다”고 말했다. 사전 조사로 전공 선택_18학번 이하은일반고인 울산 삼일여고를 졸업하고 지역균형선발전형으로 합격한 이하은 씨는 경험과 적극적인 조사활동을 토대로 진로를 ... ...
[특별 인터뷰] 한국인이 탐사 대장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더하거나 빼는 등 다음 프로젝트의 운영 방식에 변화를 줬어요. 그런데 통계 모델을
활용
하면 실시간으로 운영 방식을 바꿀 수 있어요. 그럼 프로젝트 중간에도 대원들의 임무에 즉각 변화를 줄 수 있으니 비용을 줄일 수 있지요. Q. 고립 기지에서는 어떤 역할을 하시나요?고립 기간 동안 모든 ... ...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프로젝트’라 해요. 여러 대의 전파망원경을 하나로 연결해 거대한 하나의 망원경처럼
활용
하면 지구에서 달에 있는 골프공도 볼 수 있어요. 현재는 관측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중이에요. 그렇다면 올해 발표될 블랙홀은 어떤 모습일까요? 프로젝트에 참여한 정태현 한국천문연구원 박사님은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