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지구형 행성’ 찾았다2016.08.25
- 가장 가까운 지구형 행성인 ‘프록시마 b’(오른쪽)의 상상도. 프록시마 b는 질량이 지구의 1.3배인 암석형 행성으로, 11.2일마다 중심별인 ‘프록시마 켄타우리’(왼쪽) 주위를 한 바퀴 돈다. - 네이처 제공 태양계에서 4광년(약 9조4600억 ㎞)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곳에서 지구와 닮은 행성이 발견됐다. ... ...
- 제주 바닷물이 싱거워진 까닭은 중국… 양식 피해 ‘심각’2016.08.23
- 해수인 저염분수(빨간색)가 중국 양쯔강 하류 유역에만 모여있는 데 비해 8월 14일 사진(오른쪽)에는 제주 해역 인근까지 저염분수가 확산돼 있다. -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제공 제주 해역에 20년 만에 닥친 ‘저염분수’ 피해가 중국에서 시작됐다는 사실이 인공위성 영상을 통해 확인됐다. 1996년 ... ...
- [강릉 순포호, 양양 매호] 다시 살아날 석호! 순포호, 매호의 재발견 2016.08.18
- 왼쪽). 공사 현장에 게시돼 있는 조감도. 복원 규모는 약 16만 제곱미터다(오른쪽). - 고종환 제공 순포호 복원은 곧 순채의 복원이기도 하다. 순포호의 지명은 순채가 많이 나는 물가라는 것에서 비롯되었다. 그만큼 순채가 많이 자생하는 석호였다. 정확하게 문헌상으로 기록된 것은 없지만 구전으로 ... ...
- [캐치 업! 애플 (8)]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아이패드 나온다?2016.08.17
- 방향, 애플의 조직 문화, 실수와 성공 등에 대해 솔직히 밝혔습니다. 고 스티브 잡스(오른쪽)와 팀 쿡 - flickr(thetaxhaven) 제공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쿡 CEO는 앞으로 인공지능(AI)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애플의 지나친 아이폰 의존도에 대해 설명하면서 나온 얘기입니다. 애플 매출에서 ... ...
- 땀 흘린 뒤 마신 시원한 맥주 맛을 잊을 수 없는 이유2016.08.16
- 갈증해소에 도움이 안 되는 소금물(왼쪽)을 마시거나 건조한 찬 금속막대를 핥아도(오른쪽) 갈증뉴런의 스위치가 꺼지며 갈증이 완화된다. 한편 찬물을 마실 경우 같은 양의 따듯한 물보다 갈증해소효과가 더 크다(가운데). 즉 갈증뉴런은 실제 몸의 수분 상태가 아니라 구강에서 오는 감각신호를 ... ...
- 26kg 감량한 여성, 건강미 물씬 ‘인기’ 2016.08.14
- 여성이 인터넷 사진 공유 사이트에 자랑스럽게 올린 다이어트 비포 애프터 사진이다. 오른쪽은 69kg인 현재의 모습이다. 26kg을 감량했다. 7개월 만에 이룬 쾌거이다. 그녀가 다이어트를 위해 가장 먼저 고친 것은 식습관이라고 한다. 패스트푸드와 빵과 초콜릿과 치즈 등을 끊었다. 그리고 더 중요한 ... ...
- 게임 속 캐릭터를 내 마음대로! ‘마인크래프트 코딩 교육’어린이과학동아 l2016.08.13
- 수 없다는 거예요. 한 번에 하나의 움직임만 할 수 있지요. 교육용 프로그램의 화면. 오른쪽 블록을 조합해 명령을 내린다. - 오가희 기자 solea@donga.com 제공 예를 들어 알렉스가 앞으로 3칸 이동 후 왼쪽으로 돌아 나무를 캐게 하려면 ‘앞으로 1칸 이동’ 블록을 3개 넣고, ‘왼쪽으로 회전’과 ... ...
- [양양 쌍호, 가평리 습지] 신석기인들이 살았던 호수로의 여행 2016.08.11
- 부른다(왼쪽). 그물에 어망추를 매달아 그물이 가라앉도록 하여 물고기를 잡았던 그물추(오른쪽). - 고종환 제공 이음낚시 도구는 70여 점이 넘게 나왔다고 한다. 크기도 다양하다. 이를 통해 배를 타고 먼 바다까지나가 물고기를 잡았음을 추정할 수 있다. 그땐 바다와 이어지는 호수로 배가 드나들고 ... ...
- 글로벌 IT 기업들, 인공지능 스타트업 인수 열풍동아사이언스 l2016.08.10
- 인공지능 기술을 보여주는 이미지. 왼쪽 그림을 바탕으로 벽의 질감 등을 살린 오른쪽 이미지를 재구성했다. - 매직포니 제공 컴퓨터 비전과 머신 러닝, 컴퓨터 신경학 등 분야의 박사급 인력 11명을 보유했습니다. 이들 인력은 인수 후 트위터에서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에 인공지능을 접목하는 ... ...
- 4000년 전 중국 대홍수 유적 찾았다!2016.08.08
- 대홍수가 일어나 수천 킬로미터에 이르는 지역이 물에 잠기고 지형이 달라졌다. 지도 오른쪽을 보면 대홍수 이전 황하 하류(아래쪽 파란색 점선)와 이후 하류(위쪽 파란색 점선)가 크게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파란색 실선은 오늘날 물줄기이다. 이번 발굴로 초기 청동기 문화인 얼리터우 유적(Erlitou ... ...
이전2162172182192202212222232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