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898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조 공정 중심에서 벗어나 사람 향한 융합기술 가치 내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늘릴 예정이다. 이미 한양대와 공동
학과
를 만들기로 했다. 로봇을 중심으로 하는 융합
학과
로 상당히 좋은 협력이 모델이 될 거라 생각한다. 융합기술연구소는 AI 시대에 부응할 만한 기반을 갖추고 있다. 특히 AI의 기본 재료가 되는 산업데이터를 많이 축적하고 있다. 현재 융합기술연구소는 ... ...
15kg의 거대 새가 어떻게 날갯짓 없이 170km를 비행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7.14
콘도르의 효율적인 비행에 대한 비밀을 풀었다. 에밀리 셰퍼드 영국 스완지대 생물
학과
교수팀은 남미 파타고니아에 서식하는 안데스 콘도르 8마리의 날갯짓을 관찰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3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안데스 콘도르 8마리에 소형 ... ...
태양계 끝 제9 행성은 자몽크기 블랙홀일까?
연합뉴스
l
2020.07.14
가려질 전망이다.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CfA)에 따르면 하버드대학 천문
학과
어비 로브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빨아들일 때 방출되는 '강착 불빛'(accretion flares)을 통해 태양계 끝에 있을지 모를 작은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 ...
[인터뷰]"코로나19 취약계층 보듬기, '나'와 사회' 위한 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7.11
문제에 왜 관심을 가져야 하나. 지난해 가을, 김승섭 교수는 미국 하버드대학교 사회
학과
데이비드 윌리엄스 교수(왼쪽)와 매사추세츠 주립대학교 경제학자 리 배지트 교수(오른쪽)와 만나 사회적 약자의 차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인권이란 말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평생 한국에만 ... ...
중성자별 이중성계 관측해 우주 팽창속도 '고민' 푼다
연합뉴스
l
2020.07.09
돼왔다. 영국 이스트앵글리아 대
학과
과학전문 매체 등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
학과
로버트 퍼드먼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비대칭 질량을 가진 펄서 이중성계 'PSR J1913+1102' 관측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최신호에 발표했다. PSR J1913+1102는 태양 질량의 10배 이상 되는 별이 초신성 ... ...
양자컴퓨터 단점 극복 ‘위상 양자컴퓨터’ 구현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9
지금까지 이론적으로 존재할 것이라는 예측만 있었다. 포스텍은 이길호 물리
학과
교수 연구팀이 미국 레이시언BBN테크놀로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홍콩과기대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고차원 위상부도체의 존재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 ...
코로나19 전파 연결고리 '소셜 버블' 끊을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확산 방지에 효과적이라는 건 연구에서도 입증됐다. 멜린다 밀스 영국 옥스퍼드대 사회
학과
교수팀은 지난달 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인간 행동’에 일상적으로 만나는 사람은 반복적으로 접촉을 허용하는 대신 다른 사람과 접촉을 줄이는 전략을 채택하면 거리두기를 막연히 수행하는 것에 비해 ... ...
호흡기 질환이라던 코로나19 '온 몸 망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7
일으킨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지난달 23일(현지시간) 로버트 캠팰 미국 유타대 의대 내의
학과
교수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혈액’에 발표했다. 코로나19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혈액을 분석한 결과, 혈소판 응집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소판은 혈액의 응고나 지혈작용에 ... ...
"본질적인 문제 못찾으면 제2,제3 코로나19 계속 온다" 유엔보고서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7.07
생길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조언이다. 실제로 지난달 오를리 라즈구르 영국 엑시터대 생태
학과
연구원팀은 삼림 벌채와 도시화, 농지면적 증가와 같은 토지 사용 변화가 동물의 행동에 변화를 일으켜 코로나19와 같은 인수공통감염병 출현을 야기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포유류 리뷰’에 ... ...
KAIST 교수, 中 파견 근무 중 받은 수억 정체 놓고 '설왕설래'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학장으로 재직해 왔다. 2015년 KAIST는 충칭이공대에 전자정보공
학과
와 컴퓨터과학기술공
학과
를 개설해 KAIST의 교육시스템과 커리큘럼을 적용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해 왔다. 이에 따라 KAIST 교수진 일부도 일정 기간 충칭이공대에 파견돼 학기 별로 4개월 남짓씩 연 8~9개월씩 머물며 강의를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