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튿날
익일
내일
이틀
양일간
훗날
뒷날
d라이브러리
"
다음날
"(으)로 총 2,691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 만약 세상에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마찰이 정말로 없는 곳이라면 청소가 끝나고 집에 갈 때 진자를 흔들어 놓고 가면
다음날
아침에도 진자가 서 있지 않고 계속 흔들리는 것을 볼 수 있어야 한다.책상에서 굴러 떨어진 공은 통통 튀다가 결국은 바닥에 정지한다. 이것도 우리는 무의식 중에 공에 동력이 없으니까 당연히 서는 ... ...
윈도즈용 프로그램 베스트 15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운영체제의 대변혁과 함께 불어온 윈도즈 환경은 예전 도스용 프로그램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그중 가장 많은 수의 프로그램이 등장한 워드프로세서 분야는 개발사마다 '최고'를 외치며 도스 시장에서의 위축을 만회하려하고 있다. 사용자들의 주목을 끌고 있는 윈도즈용 워드프로세서 4가지를 ... ...
아크투루스가 주도하는 봄의 대곡선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본격적으로 봄철의 별자리들이 하늘을 뒤덮는다. 새벽하늘에 나타난 귀달린 행성 토성을 50㎜ 쌍안경으로 살펴보고 황소자리에 위치한 금성과 4대 위성과 함께 등장한 목성의 자태를 소상히 관찰해보자. 이달의 행성■ 새벽하늘에 나타난 토성거대한 고리를 가진 행성인 토성을 이달부터 새벽하늘 ... ...
한반도에서 시조새 화석 발견됐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지난달 과학동아 '과학외길'에 실린 김봉균 박사의 글을 읽은 많은 독자들의 '조선시조새'의 자세한 내용을 알려달라는 요청이 있었다. 이 글은 그 같은 요청에 대한 답이다. 약 1백여년 전 독일 남부 바이에른 지방의 졸론호펜 석회암층(초기 쥐라기)에서 세계 최초로 두 개체의 시조새 화석이 ... ...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사람들은 옛날부터 지구에 대해 많은 의문을 갖고 탐구해 왔다. 그 결과 우리는 지구에 관한 많은 지식을 얻게 됐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어떤 모습이며 그 크기와 모양이 알려진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지구는 우리 인간이 탄생해 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백만 종 이상의 생명체가 태양계 내의 ... ...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일견 무시무시하게만 느껴지는 방사선 피폭은 육종학 분야에서 이미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인체 방사능 피폭의 유전적 영향인데…편집광적으로 집념이 강하면서도 자신의 연구분야에서는 특출한 재능을 가진 한 과학자가 어느날 실험실에서 방사선에 노출된다. 이 사고로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80년대 들어 인체의 뇌와 심장에서 혼돈현상이 발견되면서 혼돈 연구는 그 응용의 폭을 대폭 넓혀가고 있다.오늘 북경에서 공기를 살랑거리는 나비가 다음달에 뉴욕에서 폭풍우를 몰아치게 할 수 있다. 미국의 과학저술가 제임스 글라익의 베스트셀러 '카오스'(Chaos, 1987년)에 나오는 문장으로서 혼 ... ...
하늘에 떠있는 별들의 절반은 짝별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하나의 반짝이는 별을 망원경을 이용하여 두개의 별로 분리해 보았을 때 우주의 신비를 느끼게 된다. 금상첨화로 이 이중성이 알비레오처럼 황금색과 하늘색을 띠고 있다면… 밤하늘의 별 중 반 이상이 이중성이다. 이중성은 먼 하늘 물체처럼 투명도에 의해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특별히 관측회 ... ...
2. 현대 로켓의 시조 V-2와 그 후예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인류가 만든 로켓중에서 V-2로켓처럼 전세계의 우주개발로켓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도 없다.로켓의 역사는 우리의 생각보다 무척 오래됐다. 현재까지 알려진 것으로는 1232년 중국에서 사용한 비화창(나는 불창)이 가장 오래된 로켓이다. 비화창은 징기스칸의 셋째 아들인 오가다이 왕자가 금나라의 ... ...
서해안철새도래지 보호관리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9마리 등도 탐사됐다.탐사를 마치고 태안으로 들어가는 길에 눈발이 날리기 시작,
다음날
탐사를 걱정하게 했다. 셋째날조반을 위해 모인 탐사진에게 처음 전해진 소식은 대설주의보. 이 날은 가장 다양한 종을 관찰한 점에서도, 그리고 탐사에 수반되는 온갖 고생을 맛봤다는 점에서도 이번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