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찾나요? 이충욱 외계행성을 발견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쉽게 찾을 수 있는 행성과 찾기 힘든 행성이 존재합니다. 그에 반해 미시중력렌즈 방법은 특별한 구별 없이 다양한 형태의 외계행성을 찾을 수 있고, 특히 중심별 없이 혼자서 우주를 떠도는 ... ...
- [기획] Maker. 게임 밸런스의 핵심은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한 번 쓰고 버리는 소모성 아이템을 투입하거나, 유저들이 대결을 통해 많은 아이템을 사용하도록 하고, 아이템을 소진할 수 있는 특수한 장치를 넣기도 해. 대표적인 예가 ‘리니지M’의 ‘인챈트 시스템’이야. 인챈트는 아이템의 기본 성능을 올려주는 기능이야. 유저들의 공격력을 결정하는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싶다는 뜻으로 지은 닉네임입니다. B.C.I.는 허전해서 붙여봤는데 나쁘지 않아서 계속 사용하고 있어요. Q 가장 기억에 남는 문제는 뭔가요?‘까다로운 원 그리기’라는 문제가 기억에 남아요. 1년 전에 이 문제를 봤을 때부터 너무 궁금해 풀려고 노력했는데, 최근에 수돌이 님이 푼 걸 알게 ... ...
- 코로나19 팩트체크┃ 백신, 치료제, 개발됐나?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코로나19 환자의 회복 기간을 단축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미국식품의약국(FDA)에서 긴급사용을 허가했다.코로나19 공포에서 해방되기 위해서는 백신 개발이 더 중요하다. 6월 20일 기준 세계적으로 135종 이상의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 중 임상 1상과 2상 중인 백신이 각각 8개, 임상 3상을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벡터들을 활용한 유전자 치료제가 속속 개발되고 있다. 가령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한 선천성 면역결핍증 치료제인 ‘스트림벨리스’는 2016년 유럽의약품청(EMA)의 승인을 받아 판매되기 시작했으며, 아데노연관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희귀 유전성 망막질환 치료제 ‘럭스터나’는 2017년에 ... ...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뚫기 위해 바이러스는 다양한 전략을 펼친다. 일반적으로는 내포작용(endocytosis)을 사용한다.내포작용은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는 외부물질을 필요에 의해 받아들이거나 세포 내부로 끌어들여 파괴하기 위해 세포가 쓰는 방법인데, 바이러스가 이를 이용하는 것이다.우선 바이러스는 자신의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Journal of Immunology)’에는 쥐에서 관찰한 새로운 세포에 대한 논문이 실렸다. 당시 연구에 사용한 쥐는 성체로, 멸균된 환경에서 길러져 특정 위협에 노출된 적이 없었다. 연구팀은 이 쥐의 비장에서 세포를 추출해 시험관에서 키운 쥐의 비정상 백혈구 세포와 섞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비장에 ...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있는 33세 남성의 사례를 학계에 보고했다. 뉴모시스티스 폐렴은 영유아나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는 환자들에게서만 발견되는 질환이었다. 그런데 이 환자는 이상하리만큼 면역력이 결핍돼 있었고, T림프구 (T세포)의 수치가 현저히 떨어져 있었다. 1982년 이 질병은 에이즈로 명명됐다. 연구자들은 ...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수준의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때, 백신의 면역반응을 높이기 위해 항원보강제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항원보강제가 포함된 백신을 접종하면 항원에 의한 면역반응뿐만 아니라 항원보강제에 의한 선천 면역반응이 추가로 생긴다. 면역반응을 과도하게 활성화하는 것은 때론 독이 되기도 한다. ...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면역반응 유도가 빠르다.따라서 대규모 감염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긴급하게 백신을 사용해야 할 때 유용하다. DNA 백신은 RNA를 만들어내기 위해 세포의 핵 속에까지 들어가야 하지만, RNA 백신은 세포 내부에만 들어가도 곧바로 항원 단백질을 생성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핵산 백신은 DNA든 RNA든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