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식
보통생각
d라이브러리
"
일반생각
"(으)로 총 4,505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들에게 세상의 경계는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날아가는 새들 바라보며 나도 따라 날아가고 싶어∼ 파란 하늘 아래서 자유롭게 나도 따라가고 싶어∼”가수 변진섭의 노래 ‘새들처럼’의 가사다.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라지만 땅이라는 2차원 세상을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나 새들은 3차원 공간을 비상하며 자유를 만끽하고 있다. 특히 어느 ... ...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특수상대성이론과 일반상대성이론이라는 말은 아인슈타인과 동급으로 취급될 만큼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만약 이 이론들이 무슨 뜻이냐고 묻는다면 선뜻 대답하기가 쉽지 않다. 그렇다면 이제 이런 질문을 던져보자. 세상에서 제일 빠른 것이 있는가? 만약 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우주의 최대 ... ...
6. 평범함이 비범의 열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사람은 전세계에 12명밖에 되지 않는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실험적으로 검증된 직후인 1919년 11월 10일자 뉴욕타임스는 이런 내용의 기사를 보도했다. 하지만 정말 그의 이론이 너무 어려워 이를 이해한 사람이 전세계를 통틀어 12명밖에 ... ...
지구온난화로 최근 10년 가장 더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2004년은 관측이래 네번째로 더운 해였다. 더웠던 해 톱10 가운데 9건이 지난 10년 사이에일어났다. 기록적인 빈도의 허리케인과 태풍 등 기후로 인한 자연재해로 보험업계의 비용도 최고치를 경신해 총 350억 달러(약 37조원)의 손실이 있었다.광속이 직각으로 입사되는 피조명면상의 조명도수확예 ... ...
1. 내가 특수상대성이론을 만들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나는 생전에 특수상대성이론을 생각해내게 된 과정을 여러 차례 이야기했었지만, 그런 이야기 마다 이가 듬성듬성 빠져 있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저승 와서도 이승의 사람들이 나에 대해서 쓴 이야기들을 볼 수 있었다. 얼토당토않은 이야기들도 많았지만 내가 빠뜨린 것을 찾아낸 것도 여럿 있 ... ...
3. 3·5·6월 3연타석 홈런치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Annus mirabilis.경이의 해 혹은 기적의 해를 뜻하는 라틴어다. 1667년 영국의 시인 존 드라이든이 ‘기적의 해’라는 시에서 처음 쓴 말이다.그는 흑사병과 런던 대화재, 네덜란드와의 전쟁으로 점철된 1666년을 영국 역사에서 경이의 해라고 불렀다. 사람들은 모두 악몽의 해로 기억했지만 그는 오히려 16 ... ...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독일 뮌헨에서 자동차로 2시간 동안 내달리면 아인슈타인이 태어났던 자그마한 도시 울름이 나타난다. 눈보라가 오락가락 하는 겨울 날씨에 자동차가 흔들릴 정도의 강풍 ‘오르칸’을 뚫고 울름에 도착하자 높다란 성당이 눈앞을 막아선다.울름 대성당. 아인슈타인의 흔적은 고풍스런 성당을 ... ...
9.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1948년 아인슈타인은 68세의 나이에 ‘일반화된 중력이론’이라는 책을 펴냈다. 힘과 물질을 통합하는 ‘통일장 이론’에 대한 책이었다. 당시 연구 조수였던 존 케메니(훗날 미국 다트머스대 총장이 됨)는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모든 정열을 다 바쳐서 우주의 법칙을 찾으려 했다”고 회고했다.아 ... ...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항상 똑같은 밤하늘인 듯 하지만, 밤하늘은 항상 변화한다. 새로운 천체들이 나타나고, 그로 인한 독특한 천문현상들이 우리를 즐겁게 한다. 올 겨울에도 신비한 방랑자가 나타났다. 바로 맥홀쯔혜성이다. 밤하늘에는 적어도 100여개의 이미 알려진 혜성이 항상 떠 있다. 그 대부분은 주기혜성으로 ... ...
하늘을 감동시킨 과학자 황우석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19호
한국을 대표하는 국민 과학자2004년 2월 13일, 세계 과학사에 한 획을 긋는 커다란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바로 우리나라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인간배아를 복제하고 여기서 치료용 줄기세포를 얻어내는 데 성공했다는 내용이었답니다. 이로 인해 전 세계는 발칵 뒤집혔습니다.줄기세포는 사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