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냄새는 뇌가 맡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즉 후각에 알게 모르게 영향을 받는다. 우리가 냄새를 인식하는 동안 뇌에서 감성을
조절
하는 부위인 변연계가 관여하기 때문이다.나비가 짝짓기를 할 때 수컷은 암컷이 체외로 방출한 극미량의 페로몬을 감지해 10km 떨어진 곳에서도 정확히 암컷에게로 날아갈 수 있다. 개나 사슴 등 포유동물의 ... ...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올라가면 좋은 전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심리가 생긴다는 것.하지만 이 때도 전망을
조절
할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한다. 아파트의 베란다가 대표적인 예다. 예를 들어 영화 ‘올드 보이’에서 배우 최민식이 갇혀 있던 집에는 베란다가 없었다. 베란다가 없을 경우 인간은 심리적으로 불안을 ... ...
세상을 지배하는 붉은 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수정체를 조금 두껍게 만들 필요가 있다. 수정체를 두껍게 하기 위해서는 수정체를
조절
하는 눈 근육이 더욱 긴장을 해야 하고 오랜 시간 이런 상태로 있게 되면 근육이 피로해질 것이다.작위까지 받은 영국의 저명한 색채학자 페버 비렌은 피를 많이 봐야 하는 수술환경에서 의사가 시각적 부담을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연구단을 이끄는 이명수 교수의 설명이다. 분자의 구조와 수용액의 상태를 교묘히
조절
해 독특한 모양을 갖는 초분자를 탄생시킨다는 얘기.분자들이 스스로 뭉쳐 초분자가 되면 분자 하나일 때 갖지 못했던 새로운 성질을 나타낼 수 있다. 마치 비누분자가 물속에 들어가면 여러 개가 공 모양으로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기작 규명(2018)• 생체시계 이용 노화방지 기작 규명(2018)• 해류와 조류 이용 기상
조절
기술 실용화(2020)• 생체 전기에너지 배터리 전환 기술 개발• 나노미터 크기의 혈관청소용 로봇 개발(2017)우주로 떠나는 신혼여행요즘 최고의 신혼여행지는 우주다. 우주관광 상품은 종류도 다양하다. 잠깐 ... ...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조심스럽게 밝혔다.기생충은 결코 필요없는 존재가 아니다. 기생충은 생태계의 균형을
조절
한다. 지금은 ‘기생’으로 불리지만 사실은 서로 이익을 주고받으며 ‘공생’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생물이 수컷과 암컷으로 성이 나눠진 것도 기생충과 병균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는 생물학 이론도 있다. ... ...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시간이 조금 흐르자 피의 공급이 중단된 손은 차갑게 식었다. 묶은 끈을 약간 느슨하게
조절
하면 정맥이 부풀어 오르고 묶은 부위 아래의 동맥은 위축됐다. 묶은 부위 위쪽으로 정맥을 따라 피가 흐르지 않는 것이다. 이런 현상이 관찰되는 이유는 정맥은 피부에 가깝게 있고 동맥은 피부에서 멀리, ... ...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순환의 변화를 유도한다. 여기서 생기는 중위도의 대기파동이 극 진동의 장, 단기 변동을
조절
한다.대기순환 변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극 지역의 엘니뇨’로 불리는 극 진동은 우리나라가 있는 동아시아의 기후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우리팀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겨울철 한파, 여름철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기억이 기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뇌에서 정서를
조절
하는 곳은 편도체. 공교롭게도 편도체는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 바로 앞에 붙어있고 해마와 수많은 신경으로 연결돼 있다. 둘 사이에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실제로 스트레스를 받거나 두려움을 느끼면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바꿔가며 다양한 소리를 낸다는 것이다. 원래 조류는 사람의 성대에 해당하는 울대를
조절
해 소리를 내는데 유독 앵무새만은 사람의 성대를 닮은 구강 구조를 갖고 있고, 혀가 사람처럼 두껍고 넓다. 베커스 교수는 “앵무새가 말할 수 있는 음성기관을 갖고 있는 것은 서로 더 정확하게 의사소통할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