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폴리매스] 여기선 우리가 기획자 매스펀 잡담수학동아 l2020년 05호
- 기자로 데뷔도 해보는 건 어떨까요? 그럼 지금부터 해당하는 항목에 체크해보세요!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당신은 우리가 찾던 매스포터! ● 호기심이 많다. ● 수학을 잘하고 싶다.● 적극적이다.● 아이디어가 넘친다.● 심심한 것을 싫어한다.● 1+1=2라고 배웠다. ● 매일 컴퓨터 또는 ... ...
- 코로나19의 창, 치료제...항바이러스제가 끌고 항체치료제가 쫓고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개발하던 의약품으로 체내 작동원리가 독특하다. 약물의 분자 구조가 핵산 단위체 중 하나인 아데노신삼인산(ATP)과 유사해 에볼라 바이러스와 같은 RNA 바이러스 유전체를 구성하는 RNA의 정상적인 복제를 막는다. RNA가 복제되기 위해서는 ATP가 필요한데, 이 자리에 약물 분자가 대신 끼어 들어가 ... ...
- 인공 눈, 인공 팔, 인공 몸... 인체 개조 드라마 '루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임현식 동국대 반도체과학부 교수는 “큐비트를 만드는 데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 중 하나는 극저온에서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초전도 물질로 회로를 만들어 그 안의 전자쌍을 이용하는 것”이라며 “이런 초전도 장비가 지금은 대형 냉장고보다 크기 때문에 뇌나 신경 조직과 연결할 수 있는 ... ...
- 지상망원경 과학동아 l2020년 05호
- ’ 프로젝트의 블랙홀 최초 관측이다. EHT는 전 세계에 흩어진 8개의 전파망원경을 하나로 연결해 처녀자리에 위치한 거대 타원은하 M87에서 블랙홀의 모습을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관측했다. EHT 프로젝트에 참여한 정태현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전파망원경의 분해능이 가장 뛰어나 ... ...
- [과학동아 키즈] 아나운서에게 과학이란 "세상은 과학과 연결돼 있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최종 정착지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사실 지금도 다양한 일에 도전하고 있다. 내 장기 중 하나인 목소리를 활용해 지식을 전하는 유튜브를 준비하고 있다. 사람들이 생활 속에서 접할 수 있는 지식을 소개하려고 한다. 이해하기 쉽도록 최대한 요점만 말하는 것을 기본 콘셉트로 잡았다.최근에는 ... ...
- [이달의 책] 틀림의 두려움 떨쳐낸 과학적 상상력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생각하는 ‘과학덕후’ 독자들이라면 진정한 환호를 보낼 만하다.이 책을 읽으면서 질문 하나가 나올 때마다 멈추고 생각해봤다. 내가 이 질문을 받았다면 어떻게 대답했을까.막막했다. 뭔가 말이 되는 근거로 논리 정연하고 그럴싸하게 설명하고 싶은데, 정말이지 어떤 설명도 떠오르지 않았다. ... ...
- [과학뉴스] 태양 표면, 초근접샷 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쪽은 열이 식은 플라스마가 다시 안쪽으로 들어가는 곳이지요. 사진에서는 쌀알무늬 하나의 크기가 매우 작아 보이지만, 실제론 한반도 크기의 세 배에 달할 정도로 크답니다.이 사진은 작년 12월, 미국 하와이의 할리아칼라 천문대에 있는 다니엘 K. 이노우에(이하 이노우에 망원경) 태양 망원경으로 ... ...
- [이달의 과학사] 조슬린 벨 버넬, 펄서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버넬은 노벨 물리학상을 받지 못했어요. 이 사건은 노벨상의 역사에서 가장 큰 실수 중 하나로 알려졌지요.현재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의 객원교수인 조슬린 벨 버넬은 위대한 여성 과학자 중 한 명으로 손꼽혀요. 2년 전에는 ‘실리콘밸리의 노벨상’으로 알려진 ‘브레이크스루상’을 수상하기도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종. (정답은 기사 첫 페이지에 바로 나옵니다.) 굳이 곤충을 식용 재료로 쓰는 이유는 딱 하나입니다. 가성비(가격대비성능) 갑. 몸무게 1kg당 소, 돼지, 닭이 먹는 사료는 각각 10kg, 5kg, 2.5kg입니다. 반면 곤충은 1.7kg이면 충분합니다. 그런데 단위 몸무게 대비 단백질량은 곤충이 월등히 높습니다. 1g당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천천히 진행됐다고 볼 수만은 없다”며 “다중 소충돌설은 달의 형성과정을 설명하는 하나의 가설로 아로코스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고 설명했다. 카이퍼 벨트에서 일어나는 소행성의 병합과정과 태양 근처에서 벌어지는 병합과정은 차이가 크다는 뜻이다.최 본부장은 “지난 수십년간 이뤄진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