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33건 검색되었습니다.
쌀알보다 작지만 민감도 1000배 높아진 '
나노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3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
금속센서는 제작 방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는 것이 장점이다. 사진제공 한국연구재단 국내 연구팀 머리카락의 마약 성분을 검출 ... 검사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 ‘
나노
레터스’ 2월 27일자에 발표됐다. ... ...
항공·군사 소재 아라미드
나노
섬유 대량생산 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12
반나절로 획기적으로 단축하여 대량 생산 및 상업화의 교두보를 마련했다”며 “
나노
복합체로서 본 연구가 보여준 경이로운 보강 효과뿐 아니라 다양한 첨단 산업소재 분야로의 확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매크로몰레큘즈’ 1월 17일자에 발표됐다. ... ...
치매 잡는 유전자가위 최초 개발…동물실험 효과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9.03.12
치매를 앓는 쥐는 장소를 기억하지 못하고 모든 곳을 맴돌았지만, '크리스퍼 cas9-
나노
복합체'를 적용한 쥐는 건강한 쥐와 비슷하게 특정 장소를 기억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치료할 수 있다는 효과를 입증한 셈이다. 김 교수는 "지금까지는 여러 기술적 한계에 부딪혀 크리스퍼를 이용해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웨이퍼세정장비 국산화주도 오래택 수석…중기부문 김인호 소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불량품을 만들어낼 수 있다. 오래택 연구원은 10
나노
공정 반도체에서도 19
나노
미터(1
나노
미터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불순물도 제거할 수 있는 세정장비를 개발했다. 반도체 시장 경쟁력의 핵심 요인인 수율을 높이고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오래택 연구원은 ... ...
KAIST, 삼성과 퀄컴을 특허소송 몰아간 '핀펫' 기술은…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더 뛰어난 전류구동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비메모리 반도체는 핀펫 기술을 활용해 10
나노
와 7
나노
소자 공정까지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벌크 핀펫 기술은 이종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2001년 원광대 재직 시절 KAIST와 함께 개발했다. 원광대와 KAIST가 해외 특허 출원을 예산상의 이유로 ... ...
꿈의 물질 그래핀 생산 '양과 질' 두 마리 토끼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안종열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와 김현우 박사과정생 연구팀은 그래핀을 생산할 때 양과 질 모두를 잡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 쉬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6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나노
’에 실렸다 ... ...
장까지 살아서 가는 유산균의 방패는 '착한 바이오필름'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기대했다. 시간(일)에 따라 발효유에서 살아남은 유산균의 수(Log cfu/g). 초록색은
나노
섬유막으로 코팅한 유산균, 주황색은 자연상태의 유산균이다.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제공 ... ...
배터리 충전 속도 5배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부피가 팽창해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후 이 소재를 밀집시킨 뒤
나노
미터 두께의 얇은 탄소 막을 씌웠다. 이렇게 만들어진 실리콘-탄소 전극은 그 자체로 음극을 이룰 수 있는 일체형 전극이 됐다. 기존 음극은 구리 위에 리튬 이온을 품은 '활물질'과 전자를 전해주는 ‘집전체’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최현용 교수 “기술 발전은 과학적 이해가 선행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정보소자 구현에 한 발짝 다가갔다. 관련 연구결과는 지난해 8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
테크놀러지’ 실렸다. 최 교수는 "연구를 수행한 차순영, 노민지 연구원에게 공을 돌리고 싶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초고속 레이저 광학 기술을 기반으로 엑시톤과 양자 위상 상태의 완벽한 빛-물질 ... ...
출력 밀도 높고 충방전 속도 빠른 ‘슈퍼 커패시터’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수 있다는 점을 이론적으로 밝혔다. 연구에 참여한 노찬우 연구원은 “이론적으로는 수
나노
초 이내 짧은 시간 안에 충전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본 연구는 전기장 변화에 따른 이온성 액체 슈퍼커패시터의 거동에 대한 분자 수준의 이해를 진일보시킨 결과”라며 “향후 이온성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