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뉴스
"
반도체
"(으)로 총 2,606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으로 글씨 쓸 수 있는 디스플레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10
디스플레이 를 개발했다. 퀀텀닷은 빛을 내는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반도체
결정으로, 미래형 TV나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실감디스플레이연구그룹 남수지 선임연구원팀은 미국 일리노이대 재료공학과 심문섭 교수, ... ...
무선으로 마취 심도 파악하는 기술 개발...마취 사고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09
수 있는 ‘마취심도계측기’를 개발했다고 9일(현지 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반도체
학술대회 ‘국제고체회로설계학회(ISSCC)’에서 발표했다. 연구진의 마취심도계측기에는 실제 수술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초소형 근적외선 분광 센서가 탑재돼 있고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해 ... ...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감’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7.02.09
나노종합기술원은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전국의 기업들이 센서를 연구할 수 있는
반도체
클린시설과 MEMS 장비를 갖추고 있다. 나노종합기술원은 이렇게 개발한 센서를 시제품으로 양산할 수 있는 시양산 시설 설립을 최근 정부에 제안했다. 김 부장은 “국내에서 MEMS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 ...
SK-LG '
반도체
빅딜' 성사…업계 "상호 윈윈"
포커스뉴스
l
2017.01.24
특수가스 업체인 SK머티리얼즈에 이어
반도체
용 웨이퍼 생산업체를 인수함에 따라
반도체
소재 사업을 대폭 확대하게 된 것. 특히 관련 사업의 밸류체인을 확대함으로써 계열사간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 LG 역시 비주력 사업부문을 털어냄으로써 성장동력에 보다 집중할 수 ... ...
나노미터 급 초소형 균열 생성 과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7.01.18
단점을 보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며 “이번에 규명된 균열 현상은 앞으로 더 견고한
반도체
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8일자에 실렸다. ... ...
삼성전자, 아우디에 엑시노스 프로세서 공급
포커스뉴스
l
2017.01.18
만족하는 최첨단
반도체
기술을 실제 자동차에 빠르게 적용하기 위해 2010년부터
반도체
업체들과 'PSCP (Progressive Semiconductor Program)'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삼성전자의 엑시노스 역시 PSCP를 통해 차세대 인포테인먼트용 프로세서로 선정됐다. 배영창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 전략마케팅팀 ... ...
눈물 한 방울만 있으면 통풍검사 한 번에 OK
동아사이언스
l
2017.01.17
수 있다. 검사 정확도는 혈액검사와 큰 차이가 없었다. 박문성 KAIST 연구원은 “일반적인
반도체
공정을 이용해 손쉽게 대량생산이 가능한 것도 장점”이라고 밝혔다. 연구진은 이번 성과가 앞으로 다양한 체액을 이용한 각종 검사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 교수는 “질병 ... ...
비누로, 종이로 만든
반도체
도 등장… ‘특수
반도체
’ 개발 열풍
동아사이언스
l
2017.01.11
다양한 형태의 제품 개발을 시도할 여지가 생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극도로 얇은
반도체
회로를 구성할 첨단 소재 역시 속속 개발되고 있어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양규 KAIST 교수팀이 개발한 보안용 메모리 소자 - KAIST ... ...
마이크로파로 썼다 지우는 메모리 나올까
과학동아
l
2017.01.10
발열로 인한 문제가 없다. 이 교수는 “마이크로파로 제어 가능한 메모리 기술은 기존
반도체
의 한계를 뛰어 넘을 것”이라며 “사람의 신경망을 닮은 메모리를 개발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배터리의 성능 같은 사용편의성 측면이 제품의 성패에 주요변수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반도체
칩에 비하면 배터리는 한참 아래 기술로 보일 수도 있겠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무게는 줄이고 사용시간은 늘리고 안전성을 유지하며 수명을 길게, 즉 배터리 효율이 떨어지는 속도를 최대한 늦추게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