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제
통제
콘트롤
처리
조작
조치
자제
뉴스
"
제어
"(으)로 총 2,651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에 사람 대신 ‘드론’ 보낸다!
과학동아
l
2016.11.03
무인탐사연구소를 만들었다. NASA 휴먼어드벤처전에서 3D프린팅 드론을 전시했고 비행
제어
장치 및 충돌방지 시스템을 만들었다. 해양탐사장비, 기상관측장비, 우주탑재체를 개발하고 있다 ... ...
수술 없이 암 치료하는 ‘나노로봇’ 등장
2016.11.01
것으로 기대된다. 박재형 성균관대 화학공학및고분자공학부 교수팀은 초음파로 원격
제어
할 수 있는 나노로봇으로 종양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은 정맥주사로 체내에 넣을 수 있는 크기 수 나노미터(nm, 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초소형 로봇을 만들었다. ... ...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
과학동아
l
2016.11.01
무한한 가능성이 있음을 알았던 파인만이 나노미터(nm) 크기의 작은 물체를 만들고
제어
하는 기술(나노기술)의 태동을 일찌감치 예견한 강연이었다. 그로부터 반 세기가 지날 즈음 화학자들은 분자를 이용해 작은 기계들을 구현해 냈다. 그리고 올해 노벨 화학상은 머리카락 굵기의 1000분의 1 크기의 ... ...
해저 6000m 걷는 탐사로봇, 최종실험 현장 가보니
2016.11.01
6가지 보행방법을 가지고 있다. 제자리에서 몸을 좌우로 기울이는 ‘롤링’ 등 6가지 자세
제어
도 가능하다. 장거리 이동을 할 때는 다리를 좌우로 들어 지느러미처럼 휘저으며 상하좌우로 헤엄칠 수도 있다. 평상시 탐사할 때는 초속 10cm 정도로 천천히 움직이지만 수영모드로 변신하면 초속 50cm로 ... ...
'초연결 지능형車' 5년내 현실화…현대·기아 커넥티드카 고도화
포커스뉴스
l
2016.10.31
위해 현대·기아차가 독자 개발 중인 운영 체제다. ‘ccOS’는 차량 네트워크·차량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 연동 프레임워크,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운전자 맞춤형 UX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인포테인먼트 프레임워크, 외부 연결 기반 데이터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커넥티비티 ... ...
‘코딩’ 기본원리 3시간 배웠을 뿐인데... “로봇이 움직여요”
2016.10.21
코딩파티’ 행사. 한 학생이 어머니와 나란히 앉아 소프트웨어를 제작해 로봇을
제어
해 보고 있다. - 한국과학창의재단 제공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라고 해서 어렵게만 생각했는데 엄마와 함께 하나하나 배워 보니 자신감이 생겼어요.” 초·중학생 딸과 엄마가 함께 모니터를 앞에 두고 머리를 ... ...
‘파동’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신물질 찾았다
2016.10.18
한다. 박남규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소리와 같은 파동에너지를 자유롭게
제어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매질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매질은 균일하게 배열된 형태의 ‘주기적 매질’과 서로 다른 물질이 불규칙하게 배열된 ‘무질서한 매질’로 나뉜다. 무질서한 매질은 만들기 ... ...
“실험도 온라인으로 배울 수 있나요?”
2016.10.16
스탠퍼드대는 2013년부터 온라인 생물학 실험실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사람들이 원격으로
제어
할 수 있는 온라인 생물학 실험실에는 몇 mm 크기의 소형 실험 장비와 로봇이 놓여 있다. 로봇은 원격지에서 사람들이 입력한 명령을 받아 실험을 수행하게 된다. 2017년 이 프로젝트가 완성되면 전 세계 ... ...
신소재 그래핀 성능 떨어뜨리는 원인은 ‘주름살’
2016.10.11
발견된 지 10년이 지나도록 상용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래핀 표면의 전기 특성을
제어
하는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문주희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기초연) 선임연구원 팀은 홍병희 서울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그래핀의 전기적 성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 ...
30년 핵융합 난제, 한국 연구진이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10.07
국가핵융합연구소의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를 이용해 자기장으로 플라즈마를
제어
할 때 생기는 작은 소용돌이에 주목했다. 그리고 이 난류 덕분에 플라즈마가 붕괴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과거 비슷한 연구 결과가 있었지만, 구체적인 원리까지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윤건수 교수는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