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d라이브러리
"
구멍
"(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귀에 들리지 않는 곳에서 맹활약한다 초음파의 세계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것들은 보통 방법으로는
구멍
을 뚫기 곤란하나, 초음파를 이용하면 쉽게 아주 가는
구멍
도 뚫을 수 있다(그림 5).또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은 표면에 산화막이 형성되므로 보통의 방법으로는 용접이 불가능하다. 이때 강력한 초음파를 도파관을 통해 용접 부위에 전달시키면 용접이 가능해진다. ... ...
아프리카는 폐기물 처리장?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보관하기로 계약하고 이탈리아에서 수입한 것이다. 야적된 드럼통은 얼마뒤에 녹이 슬어
구멍
이 뚫리고 악취가 나는 액체가 흘러나왔다.산업폐기물을 싣고 방황하는 선박들 88년 6월 수도 '라고스'에서 발행하는 신문 '뱅가드'지가 그 진상을 보도하자 대소동이 벌어졌다. 그 드럼통 속에 들어있는 ... ...
생물의 갖가지 형태가 갖는 의미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그리고 출구, 즉 콩의 껍질을 둥글게 잘라서 문을 만든다. 그 다음에 다시 먹이가 있는 제
구멍
으로 돌아와서 정해진 크기로 자란다. 완두콩이 굳어질 때까지 여기서 생장을 계속하는 것이다. 완두콩이 굳어지는 현상은 유충이 자라서 성충이 되었을때 큰 문제로 떠오를 수 있다. 굳어진 완두콩은 ... ...
컴퓨터가 블랙홀의 정체 밝혀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반대편 벽의 점 B'에 부딪히게 되는 데, 위의 등가원리에 의해 엘리베이터 (a)의 경우에도
구멍
A를 통하여 수직으로 들어 온 빛 역시 휘어서 반대편 벽의 점 B에 부딪혀야 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a)의 경우만을 생각해 보면, 마치 (그림1)처럼 중력장이 빛을 휘게 하였다고 말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 ...
발명왕이 되는 10계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이런 경우는 얼마든지 있다. 머리빗을 생산하는 서울의 ㄴ사는 머리빗 손자루에 공간(
구멍
)을 늘려 재료를 10%나 절감할 수 있었다. 그런데 물건은 더욱 잘 팔리더란 것이다.추를 없앤 시계와 설탕을 넣지 않은 무가당 과일쥬스 등도 빼기 발명의 대표적인 예이다. 이밖에도 튜브없는 타이어와 ... ...
75센트의 추적으로 스파이망 타진 「컴퓨터 해커」들, 첩보전에도 가담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있는 집이 무너졌다면 누구든지 쉽게 지진일 것이라고 단정해버리지만, 조그만 흰개미
구멍
을 발견했을 때는 조금만 관찰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좀더 유심히 살펴볼 것이다."이번 서독 컴퓨터 스파이 사건은 본격적인 컴퓨터 첩보전의 서막에 불과하다. 지금 세계는 컴퓨터통신망으로 복잡하게 ... ...
체중500g까지 살려낸다 초 미숙아를 기르는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점적액을 넣고 있다. 아기의 뒤쪽에 있는 인공호흡 장치에 연결된 2개의 튜브는 아기의 코
구멍
으로 들어가 성대를 지나 기관에 이르고 있다. 아기는 근육이완제 크라레의 화학합성품인 판큐로늄으로 국소마취되어 있다. 그래서 인공호흡 장치가 호흡을 조절하면서 아기에게 무리하게 호흡시킬 수가 ... ...
비용 세배 더 들고 효능도 낮아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파괴하게 된다. CFCs와 그밖의 유해물로 인해 이미 남극에는 미국 대륙넓이 만큼의 오존
구멍
이 생겼고 북극과 일부 다른지역에도 오존층이 엷어지고 있다는 보고가 지난해부터 나오기 시작했다.따라서 CFCs자체나 이를 사용하는 기기의 공급시장(세계적으로 수천억 달러)에서는 이미 제조량이 ... ...
춥고 낯선 땅에서 오히려 번성 남극주변에 실려온 북반구의 고양이·토끼·쥐·순록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1년에 거의 50여만 마리의 바다제비가 희생되는 셈이다. 이곳의 바다제비는 땅속에
구멍
을 파고 서식하는데 고양이는 약아서 가장 쉽게 잡을수 있는것을 잡는 버릇이 있다. 따라서 다른 먹이보다 바다제비를 '밥'으로 여기고있는 것이다.다행히 바다제비는 워낙 숫자가 많아서 멸종될 위험은 없다 ... ...
오존감소·수질오염, 먹이사슬 약화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위협은 오존층의 감소이다. 이미 남극 상공의 오존
구멍
은 미국넓이 만큼이나 커졌다. 이
구멍
을 통해 남극에 내려 쪼이는 자외선은 미 생물의 광합성 능력을 감소시키거나 파괴한다. 이미 남극의 일부 해역에서는 광합성 능력이 정상수준의 8분의 1까지 놀라울 정도로 떨어졌다. ‘캐롤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