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Epilogue. 태양광 유인항공기 3월 세계일주 도전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김승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반기술실장은 “가장 중요한 기술적 과제는 초경량화”라고 말했다.“상용 태양전지는 소재 한계 효율인 23~25%에 이미 ... 있는 태양광 여객기가 개발되는 날이 올 겁니다. 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 하늘을 날려는
인간
의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될 테니까요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에볼라 퇴치에 꼭 성공하길 기원합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
의 반격이 시작됐다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 ...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학술지 2012년 11월호에 발표했다. 그는 “미확인생명체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인간
종 남성과 호모 사피엔스 여성의 잡종인 것 같다”고 주장했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분명 사람의 것이었던 반면, 핵 DNA는 그간 보지 못했던 새로운 구조였다는 것이다. 이는 “빅풋은 검은 털로 뒤덮인 미지의 ... ...
[Knowledge] 우주 면역력, 비타민이 필수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비해 감소가 적다는 결과가 나왔다. 하우스 박사는 지구의 중력 영향을 받고 살던
인간
이 무중력 상태인 우주에 나가면 노화가 빠르게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우주에서는 체내 단백질과 칼슘이 1개월에 1% 꼴로 줄어든다. 만약 우주에서 1년을 머문다면, 뼈와 근육의 12%가 사라진다. 그만큼 늙는 것이다 ... ...
Part 2. 도시에선 고양이가 최고 포식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하지만 곧 다른 고양이들이 이 영역으로 들어오는 ‘풍선효과’가 발생해. 이 때문에
인간
의 힘으로 개체수를 조절해도 사실 큰 소용은 없어.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도시생태계의 비밀Part 1. 우롱이 생태일보Part 2. 도시에선 고양이가 최고 포식자!Part 3. 도시의 녹지는 섬처럼 ... ...
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
의 반격이 시작됐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2014년 9월호 에볼라 쇼크 특집 참고)▼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
의 반격이 시작됐다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수행할 기회가 많아지길 기대합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
의 반격이 시작됐다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 ...
[과학뉴스] 혜성 탐사선 ‘로제타’ 2014년 연구 성과 1위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인류 최초로 혜성에 탐사로봇 ‘필레’를 착륙시킨 탐사선 ‘로제타’가 국제 과학학술지 ‘사이언스’가 선정한 2014년 10대 연구 성과 중 1 ... 센서가 내장돼 있어 다른 로봇과 함께 도형이나 글자 등을 만들 수 있다.그 밖에
인간
의 뇌를 모방한 컴퓨터 칩 등이 올해의 주요 성과로 뽑혔다 ... ...
[과학뉴스] 고릴라가 오랑우탄보다 ‘주당’인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인간
은 언제부터 술을 마실 수 있게 된 걸까. 최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는 1000만 년 전에 일어난 유전자 돌연변이가 술을 마시게 된 계기였다는 연구가 실렸다. 미국 산타페대와 인디애나의대 연구진은 여러 영장류에서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인 ‘ADH4’ 유전자를 비교해 사람과 침팬지,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바위나 나무 위에, 마치 이끼나 곰팡이가 피듯 희끗희끗한 무엇인가가 덮여 있는 모습을 본 적이 있는가. 이런 모습을 한번이라도 본 적이 있다면 당신은 상당히 운이 ... 이들은 지금도 그저 묵묵히 버티고 있는 것은 아닐까. 바위 위와 나무 위에서 숨죽인 채,
인간
이라는 유해한 환경을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