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6,955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세계 백신·항체치료제 오미크론 변이에 ‘속수무책’
동아사이언스
l
2021.12.21
모리슨 국제전략연구센터 세계보건정책센터장은 “기존 백신으로 형성된 면역
세포
인 T
세포
를 통한 보호 효과는 오미크론을 억제하는 데 충분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감염자 규모가 의료 시스템을 압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세스 버클리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회장은 ... ...
식물체 기반 돼지열병 백신 세계 최초 출시…안전성 높아
연합뉴스
l
2021.12.20
그린백신이 출시됐다. 그린백신은 다양한 식물체를 기반으로 생산하는 백신으로 동물
세포
를 활용한 백신보다 안전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경북 포항시와 바이오앱은 20일 포항테크노파크에서 '돼지열병 그린마커백신'(제품명 허바백 돼지열병 그린마커주)의 국내시장 출시 ... ...
홍합·멍게 특성 모사 암
세포
만 집중 공격 나노항암제 개발
연합뉴스
l
2021.12.17
올라가고 광열 전환 효율도 약 50%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한 접착력으로 암
세포
에 오래 머물 뿐만 아니라 생체적으로 적합하고 잘 분해되는 홍합접착단백질로 만들어져 기존 광 감응성 소재의 한계였던 낮은 안전성을 극복하기도 했다. 이 나노폭탄은 빛을 비추는 특정 부위에만 열을 ... ...
[과학게시판] KAIST, 인공지능과 예술 국제포럼 20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시험법으로 3차원
세포
주를 기둥 형태 플레이트에 배양하고 나노물질을 노출시킨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해 독성을 평가한다.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기존 방식보다 비용이 싸면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모듈러 주택을 운송할 수 있는 충격 저감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모듈러 주택 ... ...
[일문일답]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3개월 만에 맞아도 괜찮나
동아사이언스
l
2021.12.16
바이러스를 다루는데 여기서도 간혹 오염이 일어난다. 그러니 이런 바이러스나
세포
를 다뤄보지 않은 분이 광학현미경으로 보면 당연히 오염이 됐을 것이다. 절대로 미생물이 나올 일은 없다.” - 백신접종률이 높은데 왜 돌파감염이 나오나. (정 청장)“백신 예방효과가 100%는 아니다. 어느 정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RNA 치료제의 부상과 우연한 인본주의
2021.12.16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 환자의 조직을 채취해서 유전체를 변형한 후, 이렇게 변현된
세포
를 다시 환자에게 주입하는 방식이 현실적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우연히 얻은 인본주의 - 암에서 유전병과 감염병으로 RNA 기반 신약개발 시장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런 흐름에 가속도를 붙인건 ... ...
[인간·공감·AI]미생물 세계의 복잡한 퍼즐 AI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실시되고 있다. 이 교수는 "가장 외부 물질을 많이 받아들이는 사람의 장은 인체 면역
세포
의 70%가 집중돼 있다"고 말했다. 생명과학 분야 선진국으로 여겨지는 미국과 유럽에서도 생명과학 분야에서 AI와 같은 데이터과학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분위기다. 스웨덴 국내총생산(GDP)의 30%를 담당하면서 ... ...
[랩큐멘터리]생명현상 조절하는 유전자 발현 제어장치, 코로나 대응 선봉 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세포
외부의 신호에 반응하는 유전자 회로가
세포
내부 신호로 조절되도록 바꾸면
세포
상태를 조절하거나 대사활동을 통제하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미생물 사멸시스템을 만들어 외부의 특정한 신호물질이 없을 때 즉각 성장을 억제하도록 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신호물질 조합을 보안코드로 ... ...
[화보] 핑크 형광 뽐내는 뜀토끼…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미국 솔크연구소 교수와 지웨이즈 중국 쿤밍과기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인간의 줄기
세포
를 원숭이 배아에 주입해 키운 ‘인간-원숭이 잡종 배아’를 세계 최초로 만들었다고 4월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다. 실험에 쓰인 배아 132개 중 19일 후에 살아남은 배아는 3개에 불과했지만 사람과 가까운 ... ...
머크 먹는 코로나 치료제 왜 '게임체인저' 기대감 꺼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21.12.14
코로나19 확진 초기 5일간만 복용하는 데 비해 노스캐롤라이나대 연구팀이
세포
를 너무 오랫동안 노출시켰다"고 주장했다. 복용방법과 달리 과도하게 노출시킨 탓에 돌연변이가 나타났다는 얘기다. MSD측은 자체적으로 설치류를 대상으로 안전성을 시험한 결과 DNA 돌연변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