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스페셜
"
곳
"(으)로 총 2,515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선호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한편 현재 수준의 소셜로봇이 가장 능력을 발휘할
곳
은 어린이집이나 양로원, 병원일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2009년 로보비(Robovie)라는 휴머노이드가 일본 나라의 한 양로원에서 14주 동안 봉사한 적이 있는데 로봇과 정이 든 노인들은 로봇이 떠나는 날 환송회까지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표면에 붙도록 했다. 2014년 11월 3일 시도된 착륙에서 표면에 튕겨 나온 후 절벽 옆 그늘진
곳
자리 잡았다. 이에 태양 전지판이 전기를 만들지 못해 배터리의 방전으로 잠깐 탐사 활동을 진행한 후 신호가 끊어지고 말았다. 추후 이 지역에 태양빛이 들어오게 된다면 필레가 다시 살아날 수도 있을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5.01.20
전기신호가 뇌에 전달돼야 비로소 사람이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런 복잡한 체제 중 한
곳
만 잘못되면 사람은 청력을 잃을 수 있다. 물론 현대과학과 의학이 발달하면서 많은 치료 방법이 개발됐다. 중이에 있는 고막, 이소골에 손상이 생기거나 다른 질환이 생길 경우 흔히 쓰는 것이 보청기다. ... ...
수의대 출신 연구원의 "연구가 좋았어요"
IBS
l
2015.01.19
시약을 처리하는 등 세포 컬쳐하는 모습.ⓒ유기현 "RNA연구단이 다섯 번째로 오게 된
곳
이에요. 처음에는 인맥이 닿는 실험실을 알아보는 것이 편해서 모교 수의대 출신의 교수님들이 계신 이대, 포항공대에 갔어요. 그러다 의대 쪽은 어떨지 궁금해서 서울대 의대 실험실도 한 번 가보고, 서울대 ... ...
[이달의 역사] 새로운 심장을 고동치게 하라
KISTI
l
2015.01.19
가늠하는 신이 있다고 여겼으며, 천신제(天神祭)의 제물로 살아 있는 심장을 바치는
곳
도 있었다. 그리스 신화 속 에로스는 사람의 심장에 황금 화살을 쏘아 사랑에 빠지게 만들거나 납화살을 쏘아 사랑을 거부하게 만들기도 했는데, 사랑의 상징인 하트(♡)가 심장과 동일한 단어인 것은 심장에 ... ...
웨어러블 컴퓨터의 핵심기술, 늘어나는 소자 늘어나야 입는다
IBS
l
2015.01.16
할 수 있는 반도체 기판은 아직 상용화되지 않았지만 이미 플렉서블 소자 기술은 여러
곳
에서 활용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소형 전자기기들. 좁은 공간에 많은 부품을 채워넣어야 하다 보니 2차원적인 기판 설계만으로는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어렵다. 현재의 휴대기기들은 대부분 휘어지는 ... ...
[이슈 속 과학기술] 실종 비행기 어떻게 찾을까
KOITA
l
2015.01.14
구분해 생각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번 사고도 교신 두절 지점에서 100∼200㎞ 떨어진
곳
에서 잔해를 발견했다. 이런 일은 실제로 자주 일어난다. 한 공군 관계자는 “과거에 지상으로 전투기가 추락해 현장수습을 해 봤는데 뻔히 레이더에 추락 위치가 나와 있는데도 인근을 샅샅이 뒤져 하루 ... ...
환경과 지역 함께 살리는 아이디어
동아사이언스
l
2015.01.14
공모전은 변화를 위한 공감대를 이끌어내는 장이었다. 출품작 대부분이 ‘내가 사는
곳
을 내 아이디어로 바꾼다’는 취지에서 출발한 덕분에 당장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아이디어가 풍성하게 쏟아져 나왔다. ● 대상은 가축 분뇨에서 에너지 얻는 군위군 이번 공모전에서 대상을 받은 경북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herpin’이 ‘잠복’이라는 뜻이다.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깨어나 입술주변 같은
곳
에 물집이 잡히게 하는 단순포진바이러스의 전자현미경 사진. - 위키피디아 제공 헤르페스바이러스는 사람처럼 DNA이중나선을 게놈으로 지니고 있는데 크기가 10만 염기가 넘고 유전자도 많게는 160개나 되는 꽤 큰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진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아이디어에 가까이 접할 수 있는 신기술을 다루는
곳
은 대학교나 연구소였다. 당시의 대학이 선망의 대상이 된 것은 부자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산업혁명 이후 기술자가 육체노동자보다 우대받은 것도 그런 맥락이다. 그러나 뢴트겐은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