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뉴스
"
사람
"(으)로 총 22,317건 검색되었습니다.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방법을 통해 어느 정도 해소가 될 것이다. 즉 계통수를 따라 공통조상을 찾아보면
사람
과 메탄생성 고세균은 약 20억 년 전(물론 추측이다) 공통조상에서 갈라졌다. 이제 이 공통조상의 조상을 거슬러 올라가면 약 30억 년 전(역시 추측이다) 세균과 갈라진 시점에 도달하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오늘날 데이터 대다수는 비트의 연속으로 변환돼 계산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그런데
사람
들은 언제부터인가 현재 디지털 정보 저장 방식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보가 손실되기 때문이다. 이는 열역학적으로 보면 불가피한 현상인데 시간이 지날수록 ... ...
장내미생물 관리 잘 해야 남성호르몬 이상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프로바이오틱스 당뇨병 예방약이 나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사람
은 쥐와 달리 1형 당뇨병은 대부분 사춘기 이전에 오기 때문에(그래서 소아당뇨병이라고 부른다) 발병률에 남녀차이가 없다. ‘네이처’ 1월 3일자에는 2013년에 결정적인 연구결과가 나올 분야들을 예측한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수 없다. 아무튼 적어도 한 동안은 ‘붉은여왕 가설’처럼 바이러스는 해마다 변신하고
사람
은 이에 발맞추기 위해 허겁지겁 백신을 만드는 행태가 반복될 것이다. 그동안은 귀찮아도 매년 예방접종을 하는 수밖에…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묘사하고 있다. 이 책은 2009년 한글판이 나왔다. ‘네이처’ 12월 6일자에 부고를 쓴
사람
이 바로 슈빈으로 그는 자신의 스승에 대해 ‘촉’이 예민한 화석 사냥꾼이자 예술가였다고 회고하고 있다. 젠킨스는 수업 네 시간 전에 강의실에 들어오곤 했는데, 칠판에 완벽한 3차원 해부 구조를 그리기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보면 이 질문의 전제가 틀렸다. 게놈을 전반적으로 고려했을 때(DNA 삽입과 삭제를 포함)
사람
과 침팬지는 95% 정도 일치한다는 것. 이 논문을 쓴 로이 브리튼(Roy Britten)이 올 초 93세로 세상을 떠났다. 미국 워싱턴DC에서 태어난 브리튼은 버지니아대에서 물리학을 공부한 뒤 제2차 세계대전 때는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해부학자 레이몬드 다트를 만난다. 다트는 1924년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화석을 발견한
사람
이다. 토비아스는 1959년 다트의 뒤를 이어 비트바테르스란트대 해부학과 교수가 됐다. 1959년 저명한 고고학자인 루이스 리키는 토비아스를 초청해 탄자니아에서 발굴한 화석들(오스트랄로피테쿠스 보이세이 ... ...
공대에서 경제학을 論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많은 경우 파는
사람
만 어떤 것의 실제 가치를 알고 상대에게 제안하기 때문이다. 두
사람
이 이렇게 주고받는 얘기 가운데 이를 취재하던 기자는 경제학 연구의 재미에 점차 빠져들어 갔다. ※구글의 ‘독감 트렌드’ 사실 IT 기업인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야후에도 경제학 연구소가 있다. 이들 ... ...
천문대에서 제임스 딘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이곳을 방문했다고 한다. 학교의 현장학습 장소로 이용될 뿐 아니라 우주에 관심 있는
사람
들이 많이 찾는다(간혹 ‘학구적인 데이트’를 하는 연인도 있는데, 경치나 야경도 함께 즐기러 오는 것이다). 그리피스천문대는 특별한 천문현상이 있는 시기는 물론이고 매월 하루를 정해 일반인에게 ... ...
우주 나이 논란 ‘허블 전쟁’의 주인공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프리드먼 대장은 “(단기적 성취를 낼 수 없어)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기 힘든 프로젝트,
사람
들이 당대에 큰 관심을 두지 않는 프로젝트 등에 지원을 해왔다”며 “가장 좋은 예가 거의 전 생애를 바쳐 우주 팽창에 대해 연구한 에드윈 허블”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카네기연구소는 카네기 펠로 ... ...
이전
2227
2228
2229
2230
2231
2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