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3,6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원은 왜 완전한 도형인가과학동아 l200001
- r과 I, 단 두 개로 이루어진다. 이제 정삼각형의 대칭 변환과 대칭군을 알아보자. (그림1)에서 보듯이 정삼각형은 선 ℓ1, ℓ2, ℓ3에 대해 대칭이므로, 선 ℓ1, ℓ2, ℓ3에 대한 반사대칭 변환이 있다. 이를 각각 х, у, z로 나타내자. 대칭군이 많을수록 완전한 도형또 정삼각형은 무게중심에 관해 ... ...
- OZ 풀코스 별자리여행과학동아 l200001
- 별자리가 신화와 함께 자신들의 이야기를 풀어낸다. 각 장에 등장하는 천체 사진과 그림은 일반인들이 밤하늘에서 별들을 보다 쉽게 찾는데 도움을 준다. 밝은 별을 순서대로 세워놓은 것, 생일로 알아보는 별점, 별자리 신화 속에 등장하는 신들의 계보를 담은 부록도 일반인들의 입맛에 맞는다 ...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과학동아 l200001
- 그가 문제삼는 것은 하나의 심리학적인 문제, 즉 우리가 ‘현실’이라고 부르는 것과는 그림자 하나조차도 일치하지 않는데도 그 속에서 설득력 있는 이미지를 추출해내는 그런 문제인 것이다 ... ...
- 재미있는 공룡족보과학동아 l200001
- 만들어지는데, 가지가 분기하는 점이 바로 진화되어 나온 새로운 특징을 나타낸다(그림1). 도표의 아래쪽은 상대적으로 오래 전에 진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최근에 진화된 특징은 도표의 오른쪽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상어와 말은 모두 척추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척추는 오래 전에 진화된 ... ...
- Ⅲ. 미래형 신분증 DNA칩과학동아 l199912
- RNA는 이 유전정보를 가지고 핵 바깥의 리보솜으로 이동해 이곳에서 단백질을 합성한다(그림). 따라서 간세포 안에서 만들어진 모든 RNA를 골라낸 후 여기에 담긴 염기의 서열을 알아내면 궁극적으로 DNA의 유전정보를 알 수 있다.전통적인 방법으로 이 실험을 수행할 경우 1개의 단백질을 만드는 ... ...
- 초상화는 왜 왼쪽얼굴인가과학동아 l199912
- 관찰하고 묘사하려는 서양의 추구와는 달리, 얼굴은 평면적이고 자세는 딱딱하지만 그림 전체에서 풍기는 인물의 기품을 숭상했다. 때문에 관습적으로 굳어진 왼쪽 측면상 형식을 바꿔야할 이유가 별로 없었다.그러나 서양의 초상화는 늘 새로운 지식과 기법을 도입하고 시험해 훨씬 다양한 자세와 ...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과학동아 l199912
- 사바나와 준사막지대에서 살고 있다. 그런데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보이지 않는다(그림1).영장류는 몸집이 작은 프로시미안(prosimian: 마다가스카르 섬에 사는 여우원숭이와 쥐원숭이가 여기에 속함)과 몸집이 큰 앤스로포이드(anthropoids)로 크게 나누어진다. 영장류의 몸집은 나무 위에서 네발걷기로 ... ...
- 인터넷 집장만 10분이면 뚝딱과학동아 l199912
- 선택하면 된다. 레이아웃에 대한 간단한 특징은 화면 아래에 소개돼 있다. 여기서는 불독 그림이 그려져 있는 오른쪽 레이아웃을 선택해보자.레이아웃을 선택하면 ‘트라이포트 퀵페이지 편집기’가 나타난다. 화면에 나타난 제목과 섹션의 내용은 홈페이지 초기화면에 그대로 배치된다. 우선 ... ...
-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과학동아 l199912
-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연결해 놓은 것. 그런데다가 월드와이드웹은 문자는 물론 그림, 사진, 음성, 동영상 등 다양한 성격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특징마저 지니고 있었다. 결국 월드와이드웹의 등장은 그동안 갇혀있던 정보들의 물꼬를 텄고, 정보 중심의 새로운 지식사회가 펼쳐지도록 그 ...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과학동아 l199911
- 차가운 대기를 지나야 하므로 이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곳은 높은 산이 있는 지역이다(그림1). 로키 산맥이 있는 미국의 콜로라도 지역에서 자주 관찰되는 이유도 그렇다. 그러므로 대기의 온도가 따뜻한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UFO 구름 보기란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렵다는 ... ...
이전219220221222223224225226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