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속이는 기만행위다. 등에가 꿀벌 무늬를 흉내 내는 게 여기 해당한다. 두 번째는 다른
생물
이 가까이 다가올 때 거짓 행위를 하는 경우. 건드리면 죽은 척 하는 곤충을 생각하면 된다. 여기까진 태어날 때부터 유전자에 저장돼 있는 속임수다.세 번째부턴 조금 복잡하다. 타고 나는 게 아니라 ... ...
[Hot Issue] 올해 벚꽃, 제 날짜에 필까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맞췄다.하지만 아쉽게도 이런 분자
생물
학적 예측모델 가운데 상용화된 것은 아직 없다.
생물
계절모형보다 비용이 많이 들뿐더러, 사람들이 원하는 것처럼 추정오차 1~2일 내 예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현재 기술로 예측할 수 있는 정도보다 식물이 훨씬 민감하게 기온에 반응한다. 안 ... ...
Part ➌ 건강한 숲에는 꽃이 핀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수학으로 활짝 핀 꽃나무가 건강하면 꽃을 피우기 마련이다. 흐드러지게 핀 꽃은 그 숲이 건강하다는 증거가 아닐까? 마지막으로 나무가 꽃을 활짝 피울 수 있는 수학적 조건을 알아보자.나무가 꽃을 피우려면, 우선 저장된 에너지가 있어야 한다. 광합성으로 얻은 에너지의 일부를 꽃을 피우는 데 ... ...
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아주 작은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이는 물결을 보면 밤하늘에 떠 있는 별무리처럼 보이지요.큰 세상을 담고 있는 작은 세상
생물
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은 매우 작기 때문에 맨눈으로는 보기가 어려워요. 그런데 가끔은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모습과 비슷하게 보이기도 한답니다. 이글이글 태양이 떠오르는 모습이나 민들레 ... ...
바다 민달팽이 광합성의 비밀은 ‘먹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2월인데 벌써 새순이 돋는 걸까요? 마치 식물의 잎처럼 생긴 이
생물
은 사실은 바다 민달팽이(Elysa Chlorotica)예요. 해초 사이에서 숨어서 해조류를 갉아 먹고 사는데, 색이 주변과 똑같기 때문에 천적이 이 바다 민달팽이를 찾기 매우 어려워요. 우리 눈에는 보석처럼 예쁜 초록색이 아주 훌륭한 ... ...
양띠 독자가 나섰다! 양의 비밀을 밝혀낼 거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평평하게 자라는 뿔을 갖고 있어요. 이제 양과 염소를 헷갈릴 일은 없겠죠?*속 : 속은
생물
을 구분하는 분류 체계다. 예를 들어 호랑이와 고양이는 같은 고양이과지만 서로 속이 달라서 뚜렷하게 구분된다. 파란 양을 찾을 거양~!올해가 ‘청양의 해’잖아요. 양의 종류가 이렇게 많다면, 파란 청양도 ... ...
[과학뉴스] 후쿠시마 토양, 미
생물
로 정화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박사는 “인공적인 세슘 결합 효소를 합성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얻었다”며 “토양과
생물
복원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Knowledge] 야생동물 천국에서 낯선 기생충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촌충 등 몸속에 사는 내부 기생충을 모으는 그룹도 있다. 엄기선 충북대 의대 교수(기생
생물
자원 은행장)는 “같은 학명을 가진 기생충이라도 각 동물에서 발견되는 개체를 따로 보존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며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려면 충분한 야생동물과 기생충 수를 확보해야 한다”고 ... ...
Part ➋ 숲에 닥친 위기, 수학으로 막아라!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작은 불씨가 숲을 태울 확률은?산불은 한 순간에 넓은 숲을 태워버릴 수 있는 위험한 재해다. 특히 우리나라 산처럼 나무가 다닥다닥 붙어 있는 숲에서는 한 지점에서 시작된 불이 주위로 금세 번질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산불을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나무를 띄엄띄엄 심어야 할까? 불이 번지는 ... ...
[지식] 곰팡이로부터 명약을 떠올리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치즈까지 만들어 주는 곰팡이는 사람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다.최근에는 수학자도
생물
학자나 세균학자와 함께 곰팡이 연구를 한다. 최대한 적은 양으로 사람에게 더 큰 이득을 줄 수 있는 곰팡이 균주를 찾거나 그 효과를 예측할 때 수학이 쓰인다.한편 사람에게 해로운 곰팡이를 연구하는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