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을 사랑한 기기묘묘 음악가 열전!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아까 원곡이 20분 20초라고 했죠? 나머지 5개의 음악은 각각 원곡으로부터 한 옥타브 아래, 7개 반음 아래, 5개 반음 아래, 5개 반음 위, 7개 반음 위로 조옮김을 했어요. 그리고 조 옮김을 하면 음악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도록 알고리즘을 짰지요. 음이 낮아지면 속도가 느려지고, 반대로 음이 높아지면 ... ...
- 보석 감정 현장 탐방 진짜 다이아몬드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색이 바뀌는 신기한 보석이에요! 보석을 백열등 밑에서 보면 붉은 색이지만, 태양 빛 아래에서 보면 녹색이 돼요. 산화크롬(Cr O )에 의한 발색원소들이 광원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빛을 흡수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알렉산드라이트 반지를 차고 나가면 아침에는 에메랄드 색이었다가, 저녁에는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절벽을 붙잡고 지탱하는 동안 입으로 더 높은 곳을 붙잡아 몸을 끌어올리는 것이다. 위아래로 달렸다는 점만 빼면 사람이 두 팔로 절벽을 오르는 원리와 같다. 이 물고기는 이런 방법으로 무려 90m나 되는 폭포 절벽을 기어오르기도 한다. 햄스터의 입 안에 있는 주머니(위). ▶일부 설치류는 입 안의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움직임, 심지어 생각만으로 정보를 불러오고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교통사고 뒤 목 아래 전신을 움직일 수 없게 됐지만, 입으로 기기를 조작해 e메일을 보내고 검색을 하는 ‘한국의 호킹 박사’ 이상묵 서울대 교수가 대표적이다. 이런 일을 가능하게 하는 잠재적인 능력이 IT 기술에 있다는 사실을 ... ...
- 신기한 바람개비 진동스피너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다른 물체를 움직이는 에너지로도 쓸 수 있단다. 파도를 생각해 보렴. 파도는 바닷물이 위아래로 진동하면서 생기는 거잖니. 우리는 이 파도가 주는 힘으로 전기를 만들 수 있지, 재미있는 해양스포츠를 즐길 수도 있고.하지만 박사님. 저는 아직 진동의 힘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어요.그럼 ... ...
- 자동차 속에 숨은 과학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연소하면서 생긴 뜨거운 가스가 피스톤을 눌러 주는 거야. 그런데 가만, 피스톤은 위아래로 움직이는데 어떻게 바퀴는 뱅글뱅글 돌 수 있냐고? 피스톤과 바퀴가 ‘크랭크’라는 장치로 연결돼 있기 때문이야. 상하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꿔 주는 장치지.4. 미래의 자동차를 움직이는 힘은?아빠 ... ...
- 별 세계도 ‘저출산 고령화’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될지도 모른다. 가장 끝까지 살아남을 별은 질량이 아주 작은 별이다. 질량이 태양의 10% 아래인 별은 수명이 몇 조 년에 달한다.현재 우주는 가속팽창하고 있다. 물질의 밀도는 계속 희박해질 것이고 별을 보기는 갈수록 어려워질 것이다. 아주 작은 별들이 최대한 버텨 보겠지만, 우주는 갈수록 ... ...
- 야구 기록, 그림만 보면 다 안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자료를 시각화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건 스포츠에서도 마찬가지다.실제로 아래의 야구 데이터를 살펴보자. 어느 팀이 가장 승률이 높은지, 타율이 높은지, 홈런을 가장 많이 치는지 표만 보고는 단번에 알기가 어렵다. 물론 일일이 따져서 보면 그 답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런 ... ...
- 10화 주사위의 방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타워라 불린 두 개의 문은 각각 세 개의 주사위를 쌓아 놓은 주사위 탑 형태였는데, 아래 쪽에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작은 문 손잡이가 보였다. 이를 보고 폴이 주사위맨들에게 물었다.“어떻게 해야 주사위 타워로 들어갈 수 있는데?”폴의 질문에 두 주사위맨들이 동시에 말을 했다.“우리가 말해 ... ...
- 수학으로 두는 신의 한 수, 바둑수학동아 l2013년 10호
- 바둑판의 격자가 2×2인 경우부터 착수 경우의 수와 그 착수 비를 계산했다. 결과는 아래 표와 같았다.격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착수 경우의 수는 급격히 커지고, 착수 비는 점점 줄어들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19×19인 격자인 경우 착수 비는 약 1.2%로 작지만, 경우의 수는 무려 2.08×${10}^{170}$나 된다. 이 ... ...
이전219220221222223224225226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