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람
여정
관광
항해
객려
여행길
편력
d라이브러리
"
여행
"(으)로 총 2,569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그래픽으로 우주공간 본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입력돼 있다.가령 플라네타리움 내에서 지구로부터 25광년 떨어진 베가별까지 우주
여행
할 때 시시각각 우주가 어떻게 보이는가를 간단하게 볼 수 있다. 또 ±1백만년 내에서 특정한 시간을 지정하면 그 때의 우주공간을 보여준다 ... ...
롤러코스터의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느낌을 주는 힘도 존재할 것이다.또 롤러코스터에 분명히 작용하긴 하지만 탑승자가 선로
여행
을 하고 있을 동안 느끼는 감각(예컨대 두려움 붕 뜨는 느낌 만족감 등)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힘도 있다. 그것은 열차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인데 여기에는 마찰력과 바람에 의한 항력(抗力)등이 ... ...
2. 화학의 혁명, 우주 원소 가족 103종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연소하는 것을 알아내고, 이 공기를 탈플로지스톤 기체라고 명명했다. 프리스틀리가
여행
하는 도중 파리에서 라브와지에를 만나서 그가 발견한 이 기체, 즉 산소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이것은 라브와지에로 하여금 근대화학의 기초를 닦는데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프리스틀리는 플로지스톤설을 ... ...
우주생물실험 35년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최초의 우주동물「라이카」가 활약하던 시기에는 과연 우주에서 생물이 생존할 수 있나를 밝히는 것이 관심의 초점이었다. 하지만 우주
여행
이 상당히 보편화된 요즘에는 우주의 무중력상태와 방사선에 동식물이 어떻게 반응하느냐를 알기위한 실험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
1. 역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사설에서 "우리의 머리 위를 돌고있는 위성에 탑승한 개는 장래에 이뤄질 인간의 우주
여행
의 선구자이고 지구의 생물이 우주속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할 것이다"라고 말할 정도였다.당시 소련의 로켓 설계책임자인 코롤로프는 인공위성에 어떤 동물을 실을까 무척 고민했다. ... ...
카메라 렌즈 통해 조물주의 오묘한 섭리 느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자주 눈에 띌 수밖에 없었지요. 새로 보는 꽃들을 한두 장씩 찍다가 79년 처음 해외
여행
을 나갔을 때 꽃사진을 찍겠다고 결심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보지 못하던 꽃들을 보고 그냥 지나칠 수 없었던 것이 아예 꽃사진만을 찍게 했습니다."그가 운영하는 병원 원장실에는 의학서적보다 꽃사진 ... ...
1 토양형성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최근이라고 할 수 있는 1870년대다. 러시아의 토양학자 도쿠체프(Dokuchaev)는 많은 곳을
여행
하면서 지구상에는 여러 종류의 토양이 있으며, 기후 식생 지형의 차이에 따라 특징적인 토양형이 형성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현재 토양학의 아버지로 추앙받고 있는 도쿠체프는 단순히 암석이 부숴지는 ... ...
2. 동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식물이 단기간의 우주
여행
을 감내할 수 있음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생물이 긴 우주
여행
이나 우주생활에 어느 정도 적응할 수 있을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앞으로 우주생물학의 여러가지 과제들이 해결되는 날 "금지되지 않은 일은 꼭 일어나고 만다"는 미국의 입자 물리학자 겔만의 말대로 인류의 ... ...
3 기후와 토양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토양은 바늘과 실의 관계. 기온과 수분양은 전혀 다른 흙을 만들어 낸다.세계의 곳곳을
여행
하거나 영상매체를 통해 이국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늘어나면서, 이제는 '아마존'하면 수목으로 빽빽이 들어찬 열대우림의 정글을, '케냐'하면 얼룩말과 기린이 풀을 뜯고 있는 사바나의 동물 ... ...
3.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되었으며 우주생물학 분야가 새로이 탄생했다.초기의 궤도비행은 모든 유기체가 우주
여행
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증거를 제공했다. 지금은 동식물의 배(胚)가 정상적으로 발달할 수 있는지 그리고 만일 극소중력 환경에서 잘 살 수 있다면 어떤 단기간의 적용 메커니즘이 있는지에 관심의 초점이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