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모두가 ‘입 터지는’ 수학 시간, 석전중학교 김희자 교사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수학 교사다. 못해도 괜찮아, ‘비움 프로젝트’김 교사는 경북의 유명 인사다. 수업에 필요한 각종 교구를 개발하고 수학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전국수학문화연구회’와 새로운 방식의 교육법을 알리고 연구하는 ‘미래교실네트워크’의 경북 대표 교사다. 거기다 재미있는 참여형 교육 ... ...
- [동아리탐방] 수학의 본질을 알고 싶으면 드루와! 연수고등학교 SSAM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보니 수학에 대한 관점이 ‘대학 입시에 필요한 어려운 과목’에서 ‘실생활에 꼭 필요한 중요한 학문’으로 바뀐 것이다. 올해도 다양한 진로를 가진 학생들이 SSAM의 문을 두드릴 것이다. 졸업하고 난 뒤 어떤 분야의 ‘스페셜 리스트’가 돼 있을지 기대해보자. 용어정리* 지오지브라 & ... ...
- 스타워즈 광선검이 탐난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말했어요. _INTERVIEW 유석재(국가핵융합연구소 소장)“우주에서 살려면, 플라스마가 필요해요!” 지난 1월 8일, 국가핵융합연구소 유석재 소장님을 만났어요. 스타워즈를 좋아해 한때 광선검 같은 플라스마제트를 제작하는 방법을 연구했다며, 현재는 플라스마로 인공 태양을 만들기 위해 ... ...
- [이달의 과학사] '피자 세이버' 발명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넓적하게 구운 빵 위에 토마토, 치즈, 올리브, 햄 등 다양한 토핑이 올라간 피자는 전세계 사람들이 좋아하는 음식이에요. 2011년 미국의 ‘전국 피자 운영자 협회’ 조 ... 보호기’라는 뜻의 피자 세이버란 이름이 붙었고요. 발명이 언제나 크고 대단하고 거창한 물건일 필요는 없답니다 ... ...
- 고작 감기인줄 알았던 코로나바이러스의 진짜 정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에게 사용하는 치료제는 바이러스의 복제와 단백질 절단 과정에 필요한 효소의 활성을 방해하는 항바이러스제가 대부분인데, 스파이크 단백질의 RBD만을 표적(항원)으로 삼는 백신(항체)을 개발할 수도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코로나바이러스는 자연 숙주인 박쥐에서 유전자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항공우주 기술 자존심 높인 '나로호 2단 고체엔진'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전략무기 엔진으로 쓰인다. 고체연료를 곧바로 점화하기 때문에 별도의 탱크나 연소실이 필요 없어 구조가 단순하고, 즉각 발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최근 한미 정부가 한국의 고체연료 우주발사체의 추진력과 사거리 제한을 해제하는 내용의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을 논의하고 있다는 뉴스가 ... ...
- 무증상 감염, 슈퍼전파… 악재 겹친 코로나19 효과적인 방역 대책은?수학동아 l2020년 03호
- 경우 2015년 메르스가 전파된 이후 감염병예방법이 개정됐다. 이전에는 역학조사에 필요한 확진자의 개인 정보를 얻기가 어려웠지만, 개정 이후 개인의 동의 없이도 환자의 이름, 연락처, 주소 등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어 격리 조치나 접촉자 관리를 빠르게 할 수 있어 감염자의 R0를 낮출 수 있다. 손 ... ...
- [진로체험] 반려견에 푹 빠진 수학 영재, 구원회 더식스데이 대표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논문대회에서 대상을 받았죠.고등학생 때부터 수학은 과학을 비롯해 살아가는데 필요한 모든 것의 근거가 되는 아름다운 학문이라고 생각해 수학자를 꿈꿨어요. 순수수학보다 당장 오늘을 살아가는데 직접적으로 수학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를 공부하고 싶어 응용수학을 선택했죠.타원곡선을 ... ...
- 퍼즐 마스터 만들기 대작전수학동아 l2020년 03호
- 강화 훈련’을 해주려고 찾아왔지. 퍼즐을 풀 때는 수리력, 공간지각력, 관찰력이 모두 필요하지만, 기초 중의 기초인 논리력이 튼튼해야 더 잘 풀 수 있거든. 논리 퍼즐의 대명사인 스도쿠를 다양한 버전으로 준비했으니 즐겁게 풀어보라고~. 오늘 만난 건 우리 둘만의 비밀이야! (퍼즐 ... ...
- [방학출동! 기자단2] 오감으로 느끼는 숲과 바다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한계가 있어요. 특히 덩치가 큰 동물일수록 살아가는 데 필요한 공간이 부족할 수 있지요. 그래서 아쿠아리움에서 태어났더라도 덩치가 많이 커진 바다거북은 자연으로 돌려보내기도 해요. 반면 생물들을 옆에서 관찰하면서 정보를 얻고, 보호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도 ... ...
이전219220221222223224225226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