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코리아
korea
대한
남한
Korea
대한 민국
d라이브러리
"
한국
"(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조용한 침략자, 과불화화합물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인간의 혈액에서도 검출된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필자가 속한 연구팀은 2008년부터
한국
인의 혈액 샘플을 수집해 과불화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해왔습니다. 2012년에는 이미 혈중 PFOA 농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된 대구와, 공장이 많아 과불화화합물의 노출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 경기 시흥시 ... ...
세계에서 통한 수학 게임 앱, 토도수학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있게 해주는 요소들이 잘 녹아들어 있다. 알고 보니 토도수학을 만든 에누마의 제작진은
한국
온라인 게임의 전설이라고 할 수 있는 ‘리니지’를 만든 사람들이었다. 이건호 최고기술책임자, 김형진 게임 디자이너는 리니지 게임을 디자인한 주역들이다. 최고의 게임 전문가와 교육 전문가가 ... ...
[찰칵 퍼즐 여행] 역사와 첨단 기술의 어울림 인도 벵갈루루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11월에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2018 세계스도쿠-퍼즐선수권대회에서 우리나라 대표팀이 세계 9위에 오르는 쾌거를 거뒀습니다. 역대 대회에서 우리나라 선수가 가장 높은 순위를 거둔 것은 2017년 인도 벵갈루루에서 열린 2017 세계수도쿠선수권대회였어요. 우리나라 대표팀의 주장인 곽승재 선수가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김 학부장은 “공학자는 세계를 선도하고 나라를 먹여 살리는 직업이다”며 “
한국
공학은 이미 세계적인 수준인 만큼 국제적으로 경쟁하며 수많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일본 문학 읽기’동아리를 만든다고 해보자. 일본 로맨스 소설을 통해 일본의 연애는
한국
의 연애와 어떻게 다른지, 그 차이는 왜 생겼는지 등을 고민하고 친구들과 의견을 나누면 재미도 있으면서 아주 훌륭한 독서활동이 되지 않을까. 가장 중요한 역량, 독서 올해 ‘학생부 가이드’라는 ... ...
[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의료 교류를 무조건적인 남한의 일방적인 지원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한국
에선 유행이 이미 지나간 세균성 질병이지만 아직 그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질병들이 있거든요. 북한의 환자들을 치료하면서 원인 세균을 분리해내고, 이를 연구한다면 의료 연구에도 큰 기여를 할 수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조립하고 시험하는 과정에서 독자적인 기술을 축적하게 됐다”며 “천리안 2A호, 2B호가
한국
의 위성 산업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매우 중요한 만큼 향후 5년 내에 초에 대한 더욱 정확한 정의가 이뤄질 것”이라며 “
한국
표준과학연구원도 초의 재정의에 기여할 수 있도록 현재 연구 중”이라고 밝혔다 ... ...
Part 3. 패딩은 왜 깃털을 사랑하나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그래서 가벼운 패딩은 곧 충전성이 좋은 충전재를 사용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박영철
한국
의류시험연구원 사업지원팀 계장은 “패딩의 디자인이 단순할수록 좋다”며 “디자인이 복잡하고 봉제선이 많으면 그만큼 깃털이 밖으로 빠져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차장은 “세탁은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총면적 100m2로 4개의 방으로 구성됐다. 이곳에서는 요오드화세슘 결정 검출기를 이용해
한국
형 암흑물질 탐색 실험(KIMS)이 진행되고 있다. 검출기가 설치된 붉은 조명의 방에서 이현수 IBS 지하실험연구단 부연구단장은 “여기서 박사학위 논문을 썼다”며 웃었다. A5 실험시설에는 최근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