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제
약
의약품
의약
약품
약물소독
소독
뉴스
"
약물
"(으)로 총 2,74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것이다. 이 억제제가 임상에 적용돼 현재 쓰이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우리가
약물
로 인해 겪는 부작용 가운데 적지 않은 부분이 이런 대사과정의 혼란에서 비롯된 것이고 이를 정리하는 게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 예다. 이처럼 생체이물의 대사에 장내미생물이 깊숙이 관여하고 있고 ... ...
나노패치 붙이자 피부세포가 혈액세포로
동아사이언스
l
2017.08.08
신경세포로 바뀐다. 연구진은 개발한 패치를 피부에 부착해 유전자를 과발현시키는
약물
을 떨어뜨린 후 약한 플라즈마를 가해 피부 속으로 물질을 침투시켰다. 그 결과 섬유아세포에 있는 3개의 유전자(Ascl1/Brn2/Myt1l)가 과다하게 발현되며, 피부세포는 신경세포로 변화했다. 연구진은 뇌 손상을 ... ...
당신이 공포영화를 못보는 ‘겁보’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8.04
타란툴라의 독을 투여했을 때도 정상 쥐가 용자로 거듭남을 발견했다. 웨미 연구원은 “
약물
치료를 통해 선천적 공포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 ...
부작용 없앤 MRI 조영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01
약물
이 흐르는 혈관을 MRI에서 더 밝게 보이게 해 정확한 진단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약물
이다. 국내 연구진이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조영제를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연구단은 중국 안후이성병원과 공동연구로 산화철 나노입자 조영제의 영장류 전임상 실험에 성공했다고 31일 ... ...
세상에서 가장 이상한 승용차
팝뉴스
l
2017.07.28
있었다. 지붕에 도끼가 꽂혀 있었던 것이다. 운전자는 21살 남성이었는데 여러 종류의
약물
과 술에 취한 상태였다. 이 청년은 이중 삼중의 처벌을 받게 되었다. 차량 번호판 없이 운전하고 앞 유리 없이 운전한 것도 모두 단속 원인이라고 한다. 차의 상태는 왜 저 지경이었는지 그리고 도끼가 왜 ... ...
실시간으로 당뇨 진단하는 콘택트렌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7
콘텍트 렌즈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며 “렌즈에서 분석한 결과에 따라 당뇨 치료
약물
을 바로 투입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퀴즈] 물리적 거세는 화학적 거세보다 효과가 좋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9
높아지고 있습니다. 화학적 거세는
약물
을 통해 성충동을 억제하는 치료 방법으로
약물
투입 후 2주 이내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죄질이 안 좋은 성범죄자에게 물리적 거세를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데요. 물리적 거세가 화학적 거세보다 효과가 더 좋은 ... ...
실험실에서 만든 인공장기, 실제와 얼마나 유사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18
있는 기반 기술을 개발한 것”이라며 “이 평가 시스템이 줄기세포 기반 세포 치료제 및
약물
스크리닝용 대체조직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생물학 분야 권위지 ‘헤파톨로지(Hepatology)’ 6월 23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 ...
인류는 전염병과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16
발생한다. 대조집단에 무작위로 배정된 환자들의 경우 ‘치료 효과가 있을지도 모르는
약물
’을 투여 받지 못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립시츠 센터장은 “이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무작위 배정 시험은 특정 백신의 효능을 확인하는 가장 빠른 방법”이라며 “백신의 효과가 확인되는 즉시 ... ...
물은 정말 무(無)맛일까?
과학동아
l
2017.07.13
뉴로사이언스’ 5월 29일자에 밝혔다. 연구팀은 맛을 느끼는 수용체들을 유전적,
약물
적 방법을 이용해 마비시킨 뒤 단맛, 짠맛, 신맛, 쓴맛 등을 내는 음식을 먹이고 뇌 신경의 전기 신호를 측정했다. 짠맛 수용체를 마비시키고 소금을 먹이자 뇌 신경에 아무런 반응이 없었지만, 다른 맛을 내는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