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
타인
남쪽
남향
스페셜
"
다른사람
"(으)로 총 3,05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손가락을 보고 상대방의 성적 취향 같은 특성을 파악하는 경우가 있다. 서로 인과관계가 있을까?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대뇌피질 호문쿨루스(cortical homunculus)라는 게 있다. 뇌의 감각 피질과 운동 피질이 맡고 있는 면적에 비례해 인체를 묘사한 것이다. 감각 피질 호문쿨루스와 운동 피질 호문쿨루스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의사 니즈에 맞는 기술 개발해야”(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김영수 대한의료로봇학회 명예이사장(한양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보건복지부는 최근 의료기기에 대한 신의료기술평가와 보험등재심사 절차를 단축해 전체적으로 걸리는 시간을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새로 개발된 의료기술의 치료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평가와, 의료기기를 사용할 때 보험을 얼 ... ...
머스크의 꿈이 현실로… 1만2000개 위성 띄워 ‘우주 인터넷’ 시대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초고속 인터넷 구축용 위성 60기를 탑재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이 발사되고 있다. AP/연합뉴스 '세계 모든 곳에서 고속 인터넷에 접속하게 한다'는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의 꿈이 현실화를 위한 첫발을 내딛었다. 머스크가 설립한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는 지난달 24일 미국 반덴버그 공군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좋은 일은 우연이고 나쁜 일은 내 탓인가
2019.06.08
외부 자극을 받아들일 때 각자의 '필터'를 통해 소화해낸다. 긍정적인 정서도 마찬가지다. 게티이미지제공 나쁜 일이 생기면 그 나쁜 일 자체가 우리에게 안 좋은 영향을 미칠 것 같지만, 문제는 거기서 끝이 아니다. 한 번 일어난 일을 수도 없이 ‘곱씹기(rumination)’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영구적으 ... ...
화이자 관절염 치료제 치매 예방 효과 은폐 의혹 두고 과학계 공방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화이자가 자체 개발한 관절염치료 항염증 주사제 엔브렐이 알츠하이머 예방에도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견하고도, 막대한 비용이 드는 임상시험을 부담스러워 해 이를 의도적으로 덮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인류 복지를 위해 제약사가 해야 할 의무를 다하지 못했 ... ...
'스마트시티는 미래 도시의 대안인가' 스마트시티MP·공학계 원로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19.06.05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세종 추진단 마스터플래너인 정재승 KAIST 교수가 3일 저녁 서울에서 열린 한국공학한림원 포럼에서 스마트시티의 개념과 철학, 추진 방향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윤신영 기자 “도시는 국내총생산(GDP)의 75%를 담당하고 이 수치가 곧 80%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의 원천 ... ...
사람마다 면역력·약효 다른 이유는 '장내 미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우리 몸에 살고 있는 미생물 수는 인체세포의 10배인 100조 개에 이른다. 대부분은 소장, 대장 등 소화기관에 서식하는 장내 미생물들이다. 무게는 다 합해 2㎏ 내외(몸무게의 1~3%)지만 유전자 수는 인간 유전자의 100배에 이른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학계에서는 인간의 몸에 살고 있는 미생물이 체세 ... ...
"의사일 대신 선택한 AI 개발, 정확해서 뿌듯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지난해 북미영상의학(RSNA)에서 루닛 인사이트에 대해 발표하고 있는 서범석 루닛 대표. 루닛 제공 국내 인공지능(AI) 기업인 루닛은 이달 2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임상종양학회에서 삼성서울병원과 함께 개발한 AI로 면역관문억제제의 치료 효과를 정확히 예측한 결과를 처음 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
2019.06.04
초고체 실험의 핵심 부품인 ‘비틀림 진동자’. 그 뒤로 KAIST 물리학과 김은성 교수의 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제공 2000년대 들어 격년으로 노벨 과학상을 받다시피 하다 보니 일본인 수상자가 25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필자가 가장 깊은 인상을 받은 사람은 2008년 물리학상 수상자인 마스카와 도시 ... ...
에이즈 면역 위해 유전자 편집한 아기, 사망률 21%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지난해 11월 허젠쿠이 난팡과기대 교수가 유튜브를 통해 유전자 편집 기술로 에이즈에 면역력을 가진 '디자이너베이비'를 탄생시켰다고 밝혔다. 유튜브 제공 지난해 11월 허젠쿠이 중국 난팡과기대 교수가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 걸리지 않도록 유전자편집을 한 쌍둥이 아기가 태어났다고 발표해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