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물위성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되찾을 방법은 이제 영영 없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폭약을 실은 탄두가
끝
내 발견되지 않는다면 테러를 감행했다는 혐의야 벗을 수 있겠지만.’청취 보고서를 본부에 제출하고, 집으로 돌아가 일찍 잠을 청했다. 머릿속에서는 사진으로 본 그 유물위성의 모습이 지구를 배경으로 뱅글뱅글 ... ...
날아라 공기로켓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완성!➍ 보조 날개 스티커를 모양에 따라 접고 양면 테이프를 붙인다.➎ 로켓 아래쪽
끝
에 보조 날개 세 개를 붙인다.➏ 로켓을 발사대에 장착!3미션 수행하기공기 로켓 발사 비법!그냥 피스톤을 밀기만 한다고 로켓이 발사되진 않네. 공기 로켓을 발사하는 데도 섭섭박사님이 숨겨놓은 비밀이 있나 ... ...
가장 특별한 스페셜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농구나 축구보다 골이 많이 들어가거든요. 축구대표팀으로 나갔을 때처럼 처음부터
끝
까지 뛰고 싶어요. 그래서 제 별명이 박지성이랍니다.이번 스페셜올림픽에서 주장으로서 어떤 다짐을 했나요?저보다 약한 친구들을 도와서 강한 팀으로 만드는 카리스마 넘치는 주장이 되고 싶어요. 또 ... ...
Let's MATH PARTY!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돼도 헤아려야 하는 경우의 수가 많아 구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수학자들은 노력
끝
에 볼록 오각형과 육각형의 경우에는 각각 9개와 17개의 점을 찍어야 한다는 걸 증명했다. 그러나 볼록 칠각형 이상에서 필요한 점의 개수는 아직까지 풀리지 않았다.램지수로 풀커슨상을 받은 김정한 교수박사님, ... ...
개코보다 더 개코 같은 돼지코의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돼지는 사람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동물이다. 일단 머리
끝
부터 발
끝
까지 버리는 부분이 없다. 그런 돼지에 대한 유전정보를 완벽하게 해독한 연구가 지난해 과학학술지 네이처 11월 15일자 표지 논문으로 실렸다.돼지의 유전자를 해독한 곳은 한국을 포함한 8개국의 과학자들이 모인 ... ...
세상의 시작과
끝
이 궁금하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최고 수준의 물리학 번역가와 우주생물학 전문가가 번역에 참여했으며, ‘세상은 어떻게
끝
나는가’는 2012년 아태이론물리센터 올해의 과학책 중 하나로 선정됐다 ... ...
재즈 피아니스트가 된 수학 영재, 고희안 교수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음악을 하겠단 결심을 했다. 하지만 음대를 준비하기엔 너무 늦은 시기였다. 고민
끝
에 고려대 공대에 진학했지만, 2학년을 마친 뒤 자퇴하고 1년 동안 열심히 음악 공부를 했다.“이후 과감하게 미국으로 떠나 버클리음대에 무작정 지원했어요. 지원 기간은 한참 지났는데, 직접 찾아가 당당하게 ... ...
빙하가 녹으면 바이러스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우리가 절실하게 체감하지 못하고 있을 뿐, 온난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는 분명 ‘현재진행형’이다. 기상 이변은 물론, 해수면 상승의 결과로 해안가 저지대의 인구 ... 다만 최근처럼 급격한 변화를 일으킨 적은 인류의 역사에서 찾아보기 어렵고 변화의
끝
을 우리가 알 수 없을 뿐이다 ... ...
찜질한다고 몸이 건강해질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달군 불가마를 내놓는다고 합니다. 불가마에서 나오는 열기를 쬐는 것이지요. 그게
끝
이 아니었습니다.찜질방에 있는 불가마가 건강에 도움이 되는 효능이 있다는 얘기를 쉽게 접할 수 있었습니다. 여기서부터 뭔가 삐딱하게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무슨 효능이 있다는 건지 찾아 ... ...
➋ 이재진 컴퓨터공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원하는 성능이 안 나왔어요. 그래서 계속 붙어 앉아서 원인을 찾고 개선하고 또 개선하고
끝
까지 물고 늘어졌더니 처음 목표한 결과가 나왔죠.그리고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한다는 신념이 있어요. 사람에게 꼭 필요한데 풀리지 않은 문제가 많아요. 그런 문제를 푸는 것이 공학이나 과학하는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