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로보트
로봇트
robot
인조인간
기계 인간
자동 인형
총
d라이브러리
"
로봇
"(으)로 총 2,37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신소재와 정밀설계기술 총동원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장착하고 인공지능을 갖추어 독자적으로 판단하고 작업하는
로봇
을 개발하려 하고 있다.
로봇
의 이용은 단순히 공사기간을 단축하는데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곳의 작업이나 위험한 작업에 매우 효율적이다.일본의 T 회사에서는 이제까지 소개한 슬립폼 공법, 업다운 공법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위해서 여러대의 유인 무인의 월면차가 활동해야하고
로봇
도 다수 필요하다. 무인차와
로봇
은 지구로부터 원격제어를 받아 움직이기도 하지만 인공지능(AI) 프로그램에 따라 스스로 활동하기도 한다.세번째 단계는 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기지를 확장하고 인간도 3개월 이상을 체류시킨다. 이 단계의 ... ...
생생한 체험으로 살아있는 과학교육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지구력 순발력 등을 측정해주는 코너를 마련해 놓고 있다.주제별 전시관은 통신 컴퓨터
로봇
신소재 유전공학 교통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곳에서는 최신의 첨단기기들을 소개하고 있다. 첨단을 소개하면서도 첨단기기가 탄생하기까지의 역사적 과정을 중시한 것이 특징. 예를 들어 고대 중국의 ... ...
「퍼지-뉴런」칩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지난 7월초 벨기에에서 개최된 퍼지시스템학회에서는 애매함을 인식하는 '퍼지'(Fuzzy)이론과 뇌세포의 움직임을 모방한 '뉴런'기술을 융합시킨 새로운 집적회 ... 엄청난 양이다. 벨기에 학회에서 야마카와 교수는 이 칩을 사용한 간단한 '문자읽기
로봇
'을 만들어 실제 시범도 보여주었다 ... ...
세계 최초의
로봇
의사 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테스트를 앞두고 있는데 모든 여건이 좋아 보인다. 특히 이
로봇
의사에게 수술을 받겠다고 나선 지원자가 2, 30명에 이르고 있어, 임상실험을 할 때 흔히 겪게 되는 지원자 부족현상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벌써부터 대단한 인기를 끌고 있는 셈이다 ... ...
소프트웨어산업 내일 여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 되는 것을 목표로 과학기술전분야에서 미국을 맹추격하고 있다. 전자 반도체
로봇
자동차 신소재 등에서는 이미 미국을 능가했다고 자신만만해 하며, 기초과학과 컴퓨터 쪽에서도 손에 잡힐 만큼 따라 갔다고 나름대로 분석한다. 그런 일본이 유독 한 분야에서만은 미국과의 격차를 좁힐 수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변환하면 움직이는 화상도 얻을 수 있다. 이런 CCD를 촬상관대신 렌즈 뒷쪽에 설치하면
로봇
의 눈으로 사용되는 카메라를 만들 수 있다. L. A. 올림픽 때 첫 선당초 소니는 마비카의 시작기를 발표할 때 1983년에는 이 카메라를 시판할 계획이라고 장담했다. 그러나 막상 생산개발에 들어서면서 영상의 ... ...
색을 구별하는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미국 로체스터대학의 컴퓨터과학 연구실은 마치 작은 슈퍼마켓 처럼 보인다. 온갖 잡동사니가 흩어져 있고 중앙에는 두개의 소형 카메라가 달린
로봇
팔이 ... 산업용
로봇
이 색상인식능력을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장담했다. 물론 그중에는 슈퍼마켓의 점원
로봇
도 포함될 것이라고 한다 ... ...
2 헛발질할 때도 있는 「세계정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미국방부 조사에 따르면 일본은 반도체재료와 마이크로전자회로, 기계의 지능화와
로봇
공학, 광학, 초전도재료 그리고 생물공학분야의 기술에 관한한 서유럽과 소련은 물론이고 미국보다도 앞서거나 같은 수준에 있다. 그런데 이런 막강한 기술능력을 가진 일본도 실패의 쓴 잔을 마시지 않을 수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총아로 각광받는
로봇
공학도 학제간 연구의 산물이다. KIST의 박종오박사는 "
로봇
공학을 하려면 최소한 기계 전기전자 컴퓨터공학 세 분야에 대한 기초지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부과정에서 관련학과의 강의를 폭넓게 듣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지적이다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