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야구 최강 타순 어떻게 정할까? 마르코프 연쇄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알면 된다. 직접 보지 않아도 예측할 수 있다마르코프 연쇄를 이용하면 현재의 상태를
정확
히 알지 못해도 내일의 상태를 짐작할 수 있다. 만약 어느 외딴 집에 갇혀 있다고 생각해 보자. 창이 가려져 있어 날씨를 직접적으로 아는 방법은 전혀 없다. 매일 집을 찾는 사람이 우산을 갖고 있거나, 갖고 ... ...
태양은 가장 완벽한 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평평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지난 50여 년 동안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태양의
정확
한 모양은 확실히 알려지지 않고 있었다.연구팀은 지구 대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인공위성으로 관측해 지금까지 얻을 수 없었던 정밀도로 태양을 관측했다. 그 결과, 태양을 지름 1m의 공으로 축소한다면 ... ...
세상에서 가장
정확
한 1초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2012년 3월 미국과 호주 과학자들은 토륨이온(Th+)을 이용하면 광시계의 한계보다 10배 더
정확
한 시계를 만들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 시계를 이온 핵시계(ion nuclear clock)라고 한다. 이 시계가 구현된다면 3조 년 동안 1초가 어긋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온 핵시계는 이론적으로만 제시됐을 뿐 실제로 ... ...
“오로라 뜨는 밤엔 태양풍을 조심하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지난 여름 미국 뉴욕이나 워싱턴에 다녀온 적이 있나요? 그랬다면 자신도 모르게 비행기 안에서 우주방사선을 많이 맞았을 겁니다. 그 기간에 태양 폭 ... 우주날씨 통합 예보 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니 언젠가는 우주날씨도 지상 날씨처럼
정확
하게 예보할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라고 믿는다 ... ...
PART 1. CERN에 가다 “21세기 물리학 최대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모두 5시그마를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5시그마는 99.999943%
정확
함을 뜻한다.그러나 지아노티 박사는 발표를 마치면서 “이것은 단지 시작일 뿐”이라고 말했다. 오랫동안 찾아 헤매던 힉스를 발견해도 앞으로 할 일이 더 많다는 뜻이다. 로시 교수는 “한편으로는 ... ...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시간은 3초. 이 짧은 시간 안에 연속 3회전을 돌아야만 한다. 모든 동작은 도미노처럼
정확
하게 맞물려있다.]올림픽에서 유일하게 무기를 들고 상대와 싸우는 경기가 펜싱이다. 펜싱은 플뢰레, 에페, 사브르 3종목이 있다. 타격 부위는 종목마다 다르지만 공통적인 목표는 같다. 0.04초라는, 눈에 제대로 ... ...
원하는 동영상 콕 찍어 찾는 법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제목, 방송일자, 출연진 등 기본 정보가 있어도 이를 텍스트로 표현하면 검색 결과는 부
정확
해질 수밖에 없다.동영상에 나왔던 장면으로 동영상 원본을 찾을 수 있다면 어떨까? 필자가 속한 벤처기업 엔써즈가 동영상 검색 기술을 개발한 것도 바로 이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다.동영상으로 동영상을 ... ...
수원청개구리와 술래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같은 정보는 종 보전과 복원에 반드시 필요해요. 하지만 우리의 힘만으로는 이런 정보를
정확
하게 얻기가 쉽지 않답니다. 그래서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의 도움이 꼭 필요해요! ”장이권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생명과학과 교수 ... ...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확실하지 않습니다. 우유 속 성분 중에 어떤 성분이 키와 몸집을 키우는지 화학적으로
정확
하게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칼슘과 단백질을 섭취하기 위해서라는 가설도 있습니다. 하지만 칼슘과 단백질을 얻기 위해서라면 우유 대신 소화하기 쉬운 치즈나 요구르트를 먹어도 됩니다(우유를 발효시키는 ... ...
앗! 내알이 어디갔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알이에요. 그런데 이렇게 눈으로 보고 공룡알을 판단하다 가 틀리는 경우가 있으니
정확
하게 알고 싶으면 알껍데기를 아주 작게 잘라 ‘조직’을 관찰해야 해요. 공룡마다 조직 모양이 다르답니다. 허민 (전남대학교 한국공룡연구센터 소장)휴~. 공룡에게 쫓기느라 힘든 하루였어. 하지만 공룡이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