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개
간접
중위
도중
중도
반도
가운데
d라이브러리
"
중간
"(으)로 총 2,517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구성된 카파(κ)별은 관측하기 쉬운 멋진 안시 이중성이다.에타(η)별과 제타(ζ)별의
중간
에는 전 하늘에서 가장 큰 구상 성단(globular cluster)중의 하나인 M13이 있다. 이 성단에는 수십만개 이상의 별이 모여 있으며 그 구의 지름은 1백 광년이나 된다. M13은 우리 은하 주위에 흩어져 있는 1백50여개 구상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보다도 노벨상 수상자가 휠씬 적으니 그럴 만도 하다.일본의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는
중간
자의 존재를 밝혀낸 유카와 히데키(湯川秀樹, 49년 물리)를 비롯해 도모나가 신이치로(朝永振ᅳ郎, 65년 물리) 에자키 레오나(江崎玲於奈) 후쿠이 켄이치(福井謙一, 81년 화학)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進, 88년 ... ...
타임머신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구석에서 번지기 시작한 잉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물 전체에 골고루 번지게 될 것이다.
중간
과정에서는 더 진하고 엷은 부분들이 있겠지만 오랜 시간이 지나고 나면 모든 부분에 잉크가 고루 퍼져서 균일한 용액이 될 것이다. 따라서 시간이 흐른다는 것은 잉크가 골고루 번지는 것과 밀접한 ... ...
성적(性的)행동 지배하는 제6감각기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다른 동물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고양이의 경우 코와 입을 연결시키는 관
중간
에 위치하고 있으며 길이 1.5cm 지름 2mm정도의 관형태를 하고 있다. 5천배의 전자현미경으로 살펴본 결과 이 기관은 2백여개의 털로 덮여 있었으며 붓끝처럼 보였다.코의 점액에서는 대기 중의 향내를 느낄 수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일반적이지 못했다. 이휘소가 72년에 발표한 논문 '재규격화가 가능한 질량이 있는 벡터
중간
자이론-힉스현상의 섭동(攝動)이론'에 의해 이 문제는 명쾌하게 계산되고 증명됐다. 이를 두고 흔히 '게이지(gauge)이론의 재규격화'라고 부른다. 와인버그는 전약이론을 발전시킨 공로로 79년 노벨물리학상을 ... ...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헬륨으로 바꾸어 지는 시기)가 짧고 따라서 짧은 일생을 갖는다. 태양 정도의 별은
중간
크기에 속하는데 이러한 별은 1백~1백50억년 안정적으로 빛을 낸다. 현재 태양의 나이는 약 50억살이다.별은 수소 연료를 다 써버리게 되면 서서히 부풀어 올라 적색거성이 되며 안정된 삶을 마감한다. 별들의 ... ...
만약 오줌이 저절로 나온다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부른다. 이 근육도 방광 근육과 마찬가지로 평활근이다.또 하나의 요도괄약근은 요도의
중간
에 있는데 외요도괄약근이라고 한다. 주로 골격근과 같은 횡문근(수의근)으로 이루어져 있다. 횡문근은 그 사람의 의지에 따라 수축하기도 하고 이완하기도 하는 근육이다. 따라서 외요도괄약근은 ... ...
거리 측정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그 고리를 평면인 원형모습이나 측면인 일직선으로 보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그
중간
모습인 타원형을 보게 되는 것이다.그 별의 (따라서 대마젤란운의) 거리를 측정하려면 두가지가 필요하다. 첫째는 마젤란운의 가시적인 직경이요, 둘째는 실제 직경을 아는 것이다.가시적인 직경은 쉽게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깊이에 따라 지표 70㎞이내에서 발생하는 지진을 천발지진(shallow earthquake). 70~3백㎞를
중간
심발지진(intermediate earthquake), 3백㎞이상을 심발지진(deep earthquake)으로 구분한다.진원의 깊이에 대한 정보는 특정지역의 지진 위험도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익한 자료다. 같은 규모의 지진도 진원의 깊 ...
농사를 돕는 흰개미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흰개미떼들이 서부 아프리카의 풍경을 바꾸고 있다. 땅위에 거대한 가로줄무늬를 만드는 이들의 서식지는 이름하여 '흰개미띠'(termite ... 아닌 그
중간
쯤의 위치에서 가장 잘 자란다. 따라서 이 흰개미들이 만들어 놓은 둔덕
중간
쯤이 사탕수수가 자라기에 가장 적당한 장소가 되는 것이다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