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겪을 수 없는 극저온 또는 초고압 상태에서는 다른 모양의 얼음 결정들이 만들어진다. 지금까지 이런 특수한 환경에서 총 17종의 얼음 결정이 실제로 관찰됐다. 결정의 종류마다 ‘얼음(ice)’이라는 글자 뒤에 로마 숫자가 붙는데, 이중 우리가 흔히 보는 얼음 결정인 육각형 모양은 ‘얼음 ...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이종호 에너지소재연구단 책임연구원은 UST가 설립된 2004년부터 교수로 활동하면서 지금은 U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스쿨 나노-정보융합전공 주임교수를 맡아 KIST의 ‘소재 군단’을 이끌고 있다. 소재 군단에는 2012년부터 UST 교수가 된 손 교수와 올해 처음 UST 교수로 선임된 지 교수, 그리고 박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교육은 우리가 꿈을 마음속에 그리도록, 그리고 그 꿈을 추구하도록 만든다고 믿습니다.(I strongly believe that education enables us to envision and to ... com (굿바이! 또 만나요!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은 이번 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지금까지 사랑해주신 독자 여러분에게 감사드 ...
- [폴리매스 프로젝트] 12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여섯 번째 홀수를 오름차순으로 나열한 수열이며, 일반항은 an = 2n-1로 나타낼 수 있지요.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수열은 고대 그리스의 피타고라스학파가 처음 연구했어요.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서로 잘 어울리는 소리를 내는 현들의 길이 비(1 : ⅔ : ½)를 알고 있었는데, 피타고라스학파는 이 ... ...
- 깨어나라 용사여!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직관과 경험으로 채워야 했어요. 하지만 사회의 상호작용이 대부분 온라인으로 넘어온 지금은 수치로 더 정확하게 현상을 분석할 수 있게 됐어요. 데이터 세계는 수로 이뤄진 세계이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큰 강점이 있거든요. 더 미래로 나아가면 데이터 세계의 정보가 실제 ... ...
- [출동!기자단] 퍼즐로 로봇, 공룡까지? 규즐 체험관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이효성 대리님은 다시 친구들을 한 자리로 모았어요. 그리곤 미션을 주셨답니다. “지금부터는 여기에 있는 로봇과 로켓 두 종류의 큐즐을 조립해 볼 거예요. 도안 없이 완성품의 모습을 관찰해서 만들어보세요.”설명을 듣고 기자단 친구들은 각자 만들고 싶은 완성품 곁으로 모였어요. 김주하,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산성화 · 카이퍼 벨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헥헥, 조금만 걸어도 땀이 차는 걸 보니 벌써 여름인가봐. 여름 하면? 역시 냉면이지! 근데 이 냉면, 왜 이렇게 셔? 혹시 냉면 그릇 안에서 산성화가 ... 껍질처럼 둘러싼 ‘오르트 구름’이 존재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해요. 너무 멀고 어두워서 지금까지는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요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어떻게 변해왔는지도 알게 됐다. doi: 10.1038/nature02599 아시아에서도 빙하코어 시추 “지금까지 빙하코어를 시추하러 가신 게 몇 번이나 됩니까?”허 책임연구원은 천장을 보고 한참을 생각했다. 하지만 너무 오래된 기억에 좀처럼 계산이 되지 않는지 국내 빙하코어 연구를 처음 시작할 당시의 ... ...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 지금까지 잘 버텨 왔지만, 더는 안 될 것 같아. 그래, 알아. 너는 정말 최고였어. 하지만 세상 사람들이 우리를 인정하지 않잖아. 이젠 그만 안녕…. 올해 크리스마스에는 초록색 페트병에 안녕을 고하자. 12월 25일부터 색깔이 있는 페트병 사용이 법으로 금지된다. ... ...
- 탄소를 품어 지구를 지키다, 해안의 보물, 갯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수산물 생산지로 관리되기 시작했지만, 이미 30%에 해당하는 갯벌이 육지화됐다. 지금은 상황이 역전됐다. 어떻게든 대기 중 탄소를 흡수하기 위해 갯벌에서 한 포기의 습지 생물이라도 늘리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독자 여러분도 갯벌과 블루카본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주기를 당부한다 ... ...
이전2202212222232242252262272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