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전문학부
뉴스
"
대학원
"(으)로 총 3,25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제8회 에디슨(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1.2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이달 24일부터 25일까지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대학생과
대학원
생을 대상으로 ‘제8회 첨단 사이언스·교육허브개발(EDISON) 소프트웨어 활용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첨단사이언스·교육허브개발사업으로 개발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 ...
[이강운의 곤충記]자연을 거스르지 않는 곤충은 하등한 생물일까?
2019.01.23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p186. ※ 필자소개 이강운 곤충학자 (holoce@hecri.re.kr) 서울대
대학원
을 졸업했다. 현재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소장, (사)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 회장이며 국립인천대학교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연구 교수. 과학동아 Knowledge 칼럼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코딩 교육, 과연 필요한가?
2019.01.21
씨는 대학과
대학원
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하고 아주 잠시 신문사 기자일을 한 것을 제외하고는 20여년간 줄곧 대기업에서 디바이스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일해왔다. 수많은 개발자들과 함께 일하면서 우리 사회에 필요한 개발자 모습이 무엇일까 오래 고민했다. 정부가 소프트웨어 강국을 표방하고 ... ...
기초연구 예산 확대했다지만…비전임 연구자에겐 여전히 ‘그림의 떡’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못해 곤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교육통계연구센터에 따르면, 2017년 국내
대학원
에서 자연과학, 공학, 의학 분야에서 박사를 받은 졸업생 수는 8539명이다. 한 해 8000명이 넘는 이공계 박사가 등장하는 시대다. 이들은 정부가 제공하는 소규모 연구과제를 통해 근근히 연구 경력을 ... ...
개구리 합창서 '시차 비밀' 찾았다…"통신기술 응용 기대"
2019.01.17
통신기술 개발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동연구자인 오사카(大阪)대학
대학원
의 고이나미 다이치(小南大智) 교수에 따르면 예를 들어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다수의 자동차로부터 속도 데이터를 모을 경우 각각의 자동차가 1대씩 기지국에 직접 데이터를 보내면 서로 부딪쳐 ... ...
"性소수자·생태 연구를 후원합니다" 소수연구 숨은 후원자 크라우드 펀딩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있다. ●여성, 학생 연구자에 유리한 크라우드펀딩 헨리 사우어만 독일 베를린경영기술
대학원
(ESMT Berlin) 교수팀은 2012년 개설된 온라인 크라우드펀딩 사이트 ‘엑스페리먼트닷컴(Experiment.com)’에서 이뤄진 700건의 과학 연구 크라우드펀딩 사례를 분석해 국제학술지 ‘미국공공도서관회보(PLoS)’ ... ...
노동 생산성 하락에도 존재감…미세먼지의 '위엄'
동아사이언스
l
2019.01.15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한 근거로 2016년 미국 남가주대 마샬경영
대학원
연구진은 캘리포니아주에서 배를 포장하는 노동자의 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PM2.5 농도가 ㎥당 10㎍ 증가하면 생산성이 6% 낮아진다는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미국에 비해 중국의 ... ...
"미세먼지가 '루게릭병' 악화시킨다…치매·파킨슨병도 주의"
2019.01.15
불린다. 서울대 보건환경연구소(이혜원)·분당서울대병원(명우재)·서울대 보건
대학원
(김호) 공동 연구팀은 2008∼2014년 사이 서울의 대학병원 응급실을 찾은 루게릭병 환자 617명을 대상으로 미세먼지·초미세먼지 농도 변화와 응급실 방문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 ...
본조르노 MIT 교수 "기후변화 막기 위해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함께 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외에도 데이비드 프티 미국 아이다호국립연구원(INL) 연구원과 존 파슨스 MIT 슬론경영
대학원
(MBA) 교수가 참석했다. 그 외에도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를 비롯한 전문가 50여 명이 심포지엄에 참석했다 ... ...
지구촌 변화 이끈 넛지효과, 기후변화 문제에도 효과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1.12
것이다. 2017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행동경제학자 리처드 세일러 미국 시카고대 경영
대학원
교수가 주창한 이 말은 ‘타인의 선택을 유도하는 부드러운 개입’을 뜻하는 말이다. 강요보다는 은근한 개입이 더 큰 행동의 변화를 이끌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캠페인을 진행한 결과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