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auge
스페셜
"
게
"(으)로 총 3,15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고로 몸 마비된 28세 청년, 뇌파로 작동하는 로봇옷 입고 다시 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6
말했다. 베나비드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인간을 로봇으로 바꾸는
게
아니며 인간을 돕기 위한 의료적 문제에 관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랜싯 정신의학’ 3일자에 발표했다. ... ...
[팩트체크]후쿠시마 오염수 논란, 확인된 사실과 검증 필요한 부분은?
과학동아
l
2019.10.05
증가한 경우인지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며 “저선량 방사선의 암 발생 위험도를 정확하
게
알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발암물질과 마찬가지로 문턱값이 없다고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10월호 [시사기획] 후쿠시마 오염수 팩트체크 Q&A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혁명의 시작
2019.10.03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었으면 하고 바란다. 진짜 공부는 그렇
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물론 로마의 캄포 데 피오리 광장에 가서 가디언 지의 기사를 뽑아 들고 브루노 동상 옆 카페에 둘러앉아 토론을 하는 것이다. 당장은 어렵겠지만 언젠가는 우리의 대학 ... ...
日오염수·수출규제 R&D현안 수두룩한데…'조국'만 보는 과기정통부 국감
2019.10.02
지적했다. 이에 최 장관은 “전혀 근거없는 내용이란 걸 알고 있다”며 “국민에
게
잘 알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컨트롤 타워가 없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 의원은 “전 정부때 잘못된 정부구조를 답습한 측면도 ... ...
"문미옥 과기부 차관 자녀 인턴 의혹"
동아사이언스
l
2019.10.02
인턴을 일한
게
맞냐”고 문 차관에
게
질문했다. 그러자 문 차관은 “안했다”고 짧
게
말했다. 김 의원과 윤 의원은 “관련 자료를 제출하면 알 일”이라며 오후까지 관련 자료를 제출해달라고 요청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액상 전자담배, 제2의 가습기살균제 되나
2019.10.01
전자담배를 피우는 사람들도 확실한 원인이 규명되기 전까지는 흡연을 자제하는
게
안전하지 않을까. ※필자소개 강석기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
경도 인지장애 환자 치매 가능성 혈액 검사로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30
묵인희 서울대 교수와 황대희 교수, 이상원 고려대 교수(왼쪽부터). 과기정통부 제공. 기억력 이상을 호소하는 경도 인지장애 환자의 절반이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행되는 ...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기술 보완을 통해 예측 정확도를 90% 이상으로 높이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 ...
[표지로읽는과학] 인간 건강증진 가져올 '유전자형-표현형' 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9
네번째 리뷰에서 유전자형과 표현형 간의 연결성을 찾는데 있어 단일세포 유전체가 어떻
게
인간 장기나 오가노이드와 함께 쓰이는지에 설명했다. 사이언스는 관련 리뷰들이 표현형이 어떤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는지를 알아내 궁극적으로 인간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쑥스러움이 많을수록 친구가 필요하다
2019.09.28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
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챙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
일본이 시작은 했지만…"한국産 줄기세포 치료제 속속 출격 준비中"
동아사이언스
l
2019.09.26
분화한 신경전구세포에서 PSA-NCAM 양성세포만을 분리시켜 암 발생률을 0에 가깝
게
줄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신경전구세포를 도파민 분비 세포로 분화시켜 현재 파킨슨병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김 교수는 "현재 쥐와 원숭이를 대상으로 동물실험을 마치고 임상시험 준비 중"이라며 "내년쯤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