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5,158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왕성급 외계행성 트리오 발견
과학동아
l
200606
70개의 행성을 발견했는데, 이 가운데 40개 정도가 둘 이상으로 구성된 ‘다중 행성계’에
위치
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다중 행성계에는 적어도 하나가 목성급으로 무거운 행성이 포함돼 있었다. 로비스 박사는 “해왕성급 행성만으로 이뤄진 다중 행성계를 발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 ...
순식간에 산이 130km 움직였다
과학동아
l
200606
이 용암에 급격하게 밀려 움직였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아하로노브 박사는 “화산지대에
위치
한 카나리아 제도 역시 하트산처럼 급격하게 이동할 가능성이 크다”며 “그렇게 되면 엄청난 쓰나미가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 ...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06
육지에 붙어 있으므로 러시아 영토라는 논리가 성립한다.필자의 취재팀은 녹둔도가
위치
한 두문강 하구의 형체에 대해 지리학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지난해 가을 러시아 탐사선 ‘브니마띠르너’호를 타고 동해 남쪽으로 내려갔다. 러시아 국경수비대를 한참 지나 러시아와 북한의 해양경계선에 ... ...
1. 한반도 주변 속살 벗겨보니
과학동아
l
200606
아틀란티스를 찾기 위해 지질학자들은 지금도 해저 지역을 조사하고 있다. 아틀란티스의
위치
를 알려주는 해저 지도는 없을까.붙고, 합치고, 떨어지고지구에서 바닷물을 쫙 빨아낸다고 하자. 그러면 육지와 해저가 연결된 거대한 땅덩이가 나타날 것이다. 해저도 육지만큼 지형이 복잡하다. 평야가 ... ...
태권V 이단옆차기 하려면?
과학동아
l
200606
곱한 값(D=0.12k·H)으로 나타낸다.예를 들어 사람의 키가 1.7m일 때 무게 중심은 대략 배꼽
위치
에 있으므로 발바닥부터 무게 중심까지의 거리는 약 1m(l=0.6H)다. 이 경우 고유진동수(f)는 약 0.5Hz가 된다. 보통 실외에서 걸을 때 k를 3.3 정도로 생각하면 걸음 빈도는 초당 1.65회가 되고, 보폭은 0.67m다. ... ...
중국 싼샤댐
과학동아
l
200606
추진되는 미사일잠수함에 대항하는 작전으로서 발견 식별(아군이냐 적군이냐를 구분)
위치
결정 공격 파괴에 이르는 단계별 작전2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를 융합시켜 양쪽의 성질을 모두 갖는 잡종세포를 만드는 유전공학의 기술 토마토와 감자의 세포를 융합시켜 '포마토'를 만든 것은 한가지 ... ...
2. 바닷속 우리 땅 우리 이름
과학동아
l
200606
100km, 동서 길이가 약 150km에 이른다. 강원대지 남부에 형성된 온누리분지는 수심 1600m에
위치
한 타원형의 해저분지며, 수심 2200m의 새날분지는 ‘새로운 시대’를 나타내는 순우리말인 새날을 이름에 붙였다.경북 울진 후포 앞바다에 형성된 해저지형에는 ‘후포퇴’라는 이름을 붙였다. ‘퇴’(堆 ... ...
미션 임파서블?
과학동아
l
200606
5리터짜리 물통에 5리터보다 많은 물을 담을 수 없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표현할 수 있는
위치
는 붉게 표시한 곳들뿐이다. 또 이 그림에서 물통을 채우거나 비우는 과정은 축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처음에 물은 8리터짜리 물통에만 있으니까 OA와 OB 모두 O인 곳이 출발점이 된다(파란색). ... ...
날씨가 척척 디지털 예보 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
또 내가 사는 동네와 친구가 사는 바로 옆 동네의 날씨가 다를 때도 많아요. 이렇게
위치
나 지형에 따라 변하는 기상정보를 3시간 간격으로 알려 주는 예보시스템이 디지털예보예요.- 디지털예보는 어떻게 만드나요?우리나라 3만 7000여 개 지점의 날씨를 예보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계산을 ... ...
유기 발광 다이오드(LED) - 태초에 빛이 있으라
과학동아
l
200606
조셉슨 효과를 이용해서 만든 이 소자는 10ps(피코초:1ps=1천억분의 1초)정도 고속스
위치
작동을 한다 이 수치는 실리콘보다 훨씬 빠르며 또 소비전력도 실리콘소자의 1천분의 1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를 컴퓨터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반사경을 사용해서 빛을 모으는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