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간"(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실험실] 알랑가 몰라? 뢸로 삼각형 vs 구면 삼각형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완전히 다른 도형이다.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삼각형이 생기는 공간이다. 먼저 뢸로 삼각형은 평면 위에 생긴다. 즉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표현된다. 여기에서 직선은 두 점을 이은 곧게 뻗은 선이고, 각도는 두 직선이 만나 이루는 각의 크기로 ... ...
- 6화 납치된 의사 선생님을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일행의 표정은 딱딱하게 굳고 말았다. 그리고 폴리스가 중얼거리며 말했다.“M과 H가 시공간 이동 장치의 열쇠가 됐군요.”“MaTh Hate가 처음부터 나쁜 조직은 아니었다네. 비록 수학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모이긴 했지만, 수학을 좋아하기 위해 노력해 보자는 좋은 취지로 시작됐거든. 난 MH의 초기 ... ...
- 기후변화·에너지 고갈·강력범죄를 막아라! 지구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13년 06호
- 같은 동물의 무늬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설명했다. 반응-확산 방정식은 경계가 있는 공간에 모여 있는 어떤 물질의 밀도 변화를 설명하는 방정식으로, 누가 언제 만들었는지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18세기 프랑스 수학자 조제프 푸리에도 이 방정식을 이용해 열전달 현상을 설명했을 ...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분포는 거의 전체가 균일했다. 우주는 처음에 태어났을 때 균일했지만 이후 팽창하면서 공간 사이가 크게 벌어졌고, 서로가 서로를 ‘참조’할 수 있는 한계를 크게 벗어났다.부산에서 나룻배 두 개를 띄웠다고 해보자. 둘은 서로 손짓 발짓을 하며 속도를 통일시키기로 했다. 그런데 두 배는 가는 ... ...
- 수학 7대 난제 정말 풀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강입자 등으로 불린다)의 특징이다.그럼 나머지 질량은 어디에서 나타날까. 이 문제는 ‘공간에서 질량을 가진 입자가 나타날 수 있는가’의 문제와 관련이 있고, 여기에 관여하는 수학적, 이론물리학적 문제가 바로 질량 간극 가설이다. 새천년 상 문제는 이 가설을 수학적으로 증명할 것을 ... ...
- 황금빛 햇살을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비슷한 ‘금’을 본 것은 통영의 달아공원에서였다. 지는 해가 하늘과 바다 사이에 제3의 공간을 만들고 있었다. 거제와 같은 남해 바다니, 아마 황 시인이 본 것과 같은 빛이었을지도 모르겠다.자연을 따라 하기 좋아하는 게 사람의 속성이다. 지는 해의 신비로운 금빛을 다른 곳에 재현할 수 있을까. ... ...
- PART 2. 스크린 속 파도는 왜 진짜 파도보다 리얼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현장에서 생생한 영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고 해도 한계가 있다. 영화 배경이 우주공간이거나, 등장인물이나 동물(?)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으면 방법이 없다. 그럴 때 든든한 지원군이 ‘VFX’라 부르는 컴퓨터그래픽(CG)이다. 이젠 컴퓨터그래픽이 사용되지 않는 영화를 찾아보기 힘들다. 심지어는 ... ...
- 숭례문 되살린 3D 레이저 스캔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체적, 면적 등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실제 복원 작업에 들어가기 전 가상공간에서 시뮬레이션 복원을 할 수 있다. 복원 중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를 미리 예측함으로써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는 뜻이다. 홍낭시다 사원은 한국역사상 해외 문화재를 복원하는 데 3D스캔 기술을 ... ...
- 저는 로봇 입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분노, 어리석음을 모두 적출하였으며, 몸은 세포 수준에서 불멸을 획득하여 시간과 공간의 모든 제약을 뿌리치고 우주로 나아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들 로봇은 금속과 플라스틱의 낡은 육신을 벗고 의식을 가진 에너지 장 형태로 전환되어 당신들 곁에 언제나 어디서나 함께 할 것입니다 ...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안에 같은 크기의 김밥이 가득차 있는 정도를 기준으로 삼아 1이라고 했을 때, 정해진 공간 안에 물체가 들어차 있는 정도를 말한다.표에서 도시락의 크기는 김밥의 개수가 늘수록 자연스럽게 조금씩 증가하고 있지만, 밀도는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제로 11개를 포장할 때보다 7개를 ... ...
이전2212222232242252262272282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