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d라이브러리
"
과정
"(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국제우주정거장의 첫 일본인 선장 와카타 고이치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대뜸 조선대에 있는 김경석 교수를 아는지 물었다. 알고 보니 그가 일본 규슈대에서 박사
과정
을 밟고 있을 때 같은 실험실에서 당시 박사후연구원이었던 김 교수를 만났다고 했다. 일본 우주인의 롤모델이 나와 같은 한국 사람이라는 이유만으로 으쓱하고 자랑스러운 순간이었다. 그는 “일본을 ... ...
불 난 노트르담 대성당, 복원될까요?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연구사는 “3D 스캐닝 정보가 복잡한 구조를 해석하거나 컴퓨터로 가상 복원을 하는
과정
등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한계도 있습니다. 3D 스캐닝 전문가인 안재홍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실제 복구 작업을 하는 사람들은 3D 데이터에 익숙하지 않으니 그들이 활용할 ... ...
지구를 위한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드러난 지면의 모양이 특정한 무늬를 띄는 것을 발견합니다. 이 무늬가 생겨나는
과정
을 재현하기 위해 동물무늬의 생성 원리를 밝히는데 쓰는 ‘반응-확산모형’의 수식을 가져와 문제에 맞게 새로운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땅의 모양이나 식물 개체 수에 따라 식물이 사라지는 모습을 ... ...
안혜연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소장, SW 업계에서 성장 원동력은?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무선 네트워크’를 공부했습니다. 보안 회사는 어떻게 다니게 됐나요?미국에서 박사
과정
을 밟고 있는데, 삼성에서 유학생 대상으로 채용을 염두해 둔 인터뷰를 진행했어요. 그때 인연으로 박사 졸업 후 ‘삼성SDS’에 입사했습니다. 당시로서는 너무나도 앞선 기술을 공부해 전공을 살려 할 일은 ... ...
[통합과학] 40인의 도둑이 살아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용암’이 만든 ‘동굴’이기 때문이지요. 용암은 지하에 녹아있던 마그마가 화산 폭발
과정
에서 지각 밖으로 분출된 것을 말해요. 그 온도가 보통 1000℃ 이상이기 때문에 단단한 암석도 녹일 정도지요. 그렇다 보니 화산 활동이 일어난 지역에 있던 기존 암석의 성분에 따라 용암이 굳어 새롭게 ... ...
원시 고래는 네 발로 헤엄쳤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남아시아에 출현한 원시 고래가 아메리카 대륙까지 확산된
과정
이 일부 확인된 셈이다.벨기에왕립자연사박물관의 척추 고생물학자인 올리비에 램버트 박사는 “페레고세투스 파시피쿠스와 현생 고래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원시 고래 화석들을 찾아 분석하면 고래가 ... ...
우주 최초의 분자 수소이온화헬륨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거의 없는 헬륨과 수소이온이 결합하는 독특한 현상을 직접 관찰한 만큼 우주의 진화
과정
을 더욱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586-019-1090 ... ...
라돈침대 1년...국가대표 '라돈헌터' 라돈아이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제거해야 정확도가 높아진다. 또 알파 입자는 라돈의 방사성 동위원소인 토론의 붕괴
과정
에서도 나오기 때문에 라돈과 토론을 구별하기도 어렵다. 이온 챔버 방식이 1920년대 처음 나온 오래된 기술이지만 잘 쓰이지 않은 이유다. 하지만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발전으로 소자 기술이 발달해 싼 ... ...
과학은 실험이다_ 김정민 교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것이었다”며 “열전도와 대류 현상을 이용해 실험을 설계해야 했는데, 초등학교
과정
에는 나오지 않는 내용이라 당황했다”고 회상했다. 임 양이 실험을 제대로 설계하지 못해 헤매고 있을 때 김 교사가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 임 양은 “초등학생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개념으로 대류 ... ...
[수학뉴스] 처음으로 포착한 블랙홀의 그림자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슈퍼컴퓨터로 분석해 블랙홀의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
이 핵심이었죠. 2년이나 걸린 이
과정
에는 다양한 알고리듬이 쓰였습니다.그 중 캐서린 보우먼 하버드대학교 연구원이 개발한 알고리듬은 마치 Q직소퍼즐을 맞추는 것과 유사합니다. 지구 위의 8개 지점에서 시간별로 관측한 데이터를 토대로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