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율
정도
비
부분
푼수
분수
계수
d라이브러리
"
비율
"(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수공법건축 지진 이겨낸다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수평하중의 일부를 부담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분담률은 벽의 모양이나 개구부의
비율
등을 고려해 설계한다. 이런 방법으로 수평력에 저항하는 구조를 강구조(強構造)라고 한다. 20층이상 초고층건물은 유구조(柔構造) 이에 반해서 유구조는 20층 이상의 초고층건축을 가능하게 하는 ... ...
음식물 쓰레기 처리의 과학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집행했다. 음식물 쓰레기만의 관리 및 처리비용은 집계돼 있지 않으나 폐기물 발생
비율
로 보면 처리에 약 1천2백88억원을 지출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일반 폐기물은 발생원에서 수집 운반돼 최종적으로 매립 소각되거나 또는 재활용된다. 현재의 실정은 주로 매립(86.2% ... ...
1 자연 형태 비밀의 열쇠 기하학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기하학자였던 피타고라스는 음악의 하모니를 악기가 진동하는 현 길이의
비율
에 의해 이해하려 했다. 그는 이 사고방식을 일반화하여 모든 정성적인 자연현상은 정량적인 수치관계로 환원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피타고라스는 그리스 시대에 이미 디지털론자였던 셈이다.수학이 본격적으로 인간에 ... ...
4 눈결정의 미학은 온도·수증기 합작품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그리고 다음에 (a+b)+b… 문제는 직사각형 두변의
비율
이 항상 최초의 직사각형 변의
비율
과 같은 숫자를 구하는 것이다. 그 비는 바로 $\sqrt{5}$-1/2이다. 숫자로 따지면 0.618.만약 처음 직사각형의 두변 비를 황금비로 잡았다면 계속되는 직사각형은 모두 닮은꼴일 것이다. 이처럼 황금비는 ... ...
3 평균수명 120세 실현눈앞에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인간의 뇌와 심장 세포에 함유돼 있는 SOD
비율
을 조사한 결과 수명이 길수록 세포 속 SOD
비율
이 높다는 사실을 알아냈다.SOD는 우리 몸 속에서 자체 생성되는 일종의 효소물질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생산량이 점점 줄어든다. 일부 외국 의학자들은 중-노년이 될수록 성인병이 증가하는 이유를 ... ...
범인 알아내는 생체측정 첨단기술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현금카드를 넣는 것과 같이 자신의 스마트카드를 입력장치에 넣는다. 그러면 일정한
비율
과 성량, 피치에 따라 음성의 패턴을 표준화하는 견본 방법론(sampling methodology)을 사용한 동적 시간왜곡 연산(DTWA, Dynamic Time-Warp Algorithm)은 예민도와 크기, 또는 병에 의한 쉰 상태 등을 따라 계속적으로 ... ...
놀라운 기능지닌 마술섬유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이어 졌고, 근대 합성 섬유공업의 발전과 함께 현재는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구성
비율
이 거의 비슷한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또한 종래의 섬유에는 없었던 성능을 가진 섬유가 창출된다든지, 새로운 기능을 가진 신소재 섬유가 등장하게 되면서 섬유는 이제 생활용 자재로부터 산업용 자재에 ... ...
2 생명의 곡선 나선이 우주지배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오나르토 피사노가 발견한 것이다. 그의 별명이 피보나치이다.식물의 잎은 왜 이와같은
비율
을 이루고 있으며 황금각을 선호할까. 잎과 잎 사이의 각도는 90도-180도 사이의 어느 값을 취해도 좋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몇가지 예외적인 경우 만을 제외하고는 자연은 90도 137.5도 180도 이외에는 채택하지 ... ...
동물의 세계에도 '남아선호'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Macaca radiata, 남인도산 마카카 속 긴꼬리원숭이)의 경우에 우세한 암컷은 아들과 딸
비율
이 비슷하나 열등한 암컷은 이들을 더 많이 생산한다고 한다.이 경우 식량자원에 대한 경쟁으로 열등한 암컷의 미성숙한 암컷새끼를 학대함으로써 그 집단에 남는것을 어렵게 하고 또한 학대와 공격의 결과로 ... ...
1 크게 보면 같은 꼴-시작도 끝도 없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모형을 좀 더 자세히 들여다 보자. 정상우주론에서 우주공간은 현재 모든 곳에서 일정한
비율
로 늘어나고 있다. 그러므로 멀리 있는 은하일수록 더 빨리 멀어진다. 즉 허블의 법칙이 성립한다. 공간이 팽창하지 않았더라면 무한한 시간동안 태어났던 별들이 계속 죽으며 쌓여 오늘날 우주는 완전히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