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첨예
급진
선구
끄트머리
앞장
엉덩이
d라이브러리
"
첨단
"(으)로 총 2,809건 검색되었습니다.
활용분야 넓혀가는 클린룸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유해가스분자 등의 오염물질을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 방법으로 제거하는 기술을 이용, 최
첨단
공장으로부터 민생분야까지 광범위하게 이용가능한 폐쇄형 또는 개방형의 공기청정장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현재 거론되고 있는 0.1μ의 입자를 대상으로 클래스 10 이하인 슈퍼클린룸을 실현하기 ... ...
4. 워크스테이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1백MIPS의 고성능 제품개발을 위해 현재 세계 유명 워크스테이션업체들이 연구하고 있는
첨단
신기술은 중앙연산처리장치(CPU)의 클록(clock)주파수를 높이는 것과 완벽한 병렬처리를 실현하자는 것이다. 또한 여러개의 CPU를 동시에 사용한 다중(多重)프로세서 채용으로 분산처리를 가능하게 하려는 ... ...
과학기술처 김진현 장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그동안 우리나라는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가 소홀했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기초과학과
첨단
기술의 관계는 어떻게 설정하고 계십니까."정확한 실상은 아직 파악하고 있지 못하지만, 산업계의 응용연구보다는 대학의 기초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진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기초과학이 취약한 상태'라는 ... ...
「통신개방」시험대에 오른 국내 DB산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통신개방압력은
첨단
정보통신서비스와 무선통신 등 크게 두가지로 압축된다. 이중
첨단
통신서비스란 결국 VAN(부가가치통신망)시장개방을 의미한다. DB DP부문의 개방은 VAN 시장개방의 전초단계라고 전문가들은 보고있다.그러나 국내 DB시장이 개방된 이후 '물밀듯이' 해외DB들이 몰려올 것이라는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눈길을 끈다. 우리 과학사에 나타나는 전통의 계승과 단절, 그리고 조화와 공존의 병행이
첨단
지식을 과감히 수용하는 과정에서 큰 마찰없이 전개돼 나가고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천하도와 곤여전도의 공존. 어떤 면에서는 조화를 이루고 있다고까지 할 수 있는 공존 앞에서 우리 과학사의 ... ...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당장 소련만해도 남한과 수교하는 과정에서 북한쪽에 채 이전하지도 않은 우주·항공 등
첨단
산업 분야와 2백80개의 개발가능한 기술 리스트를 제시한 반면, 북한에 대해서는 "기술협조를 호혜적인 궤도에 올려야 한다"고 입장을 바꿔 기존의 구상무역 대신 현금수수를 요구하고 있다. 동구 역시 ... ...
신경망군과 퍼지양의 「결혼」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바로 퓨전(fusion)이론이다. 둘 사이의 융합을 뜻하는 퓨전이라는 이름을 앞세워 차세대의
첨단
기술로 최근에 등록한 퓨전이론을 응용한 제품은 아직 없다. 하지만 멀지 않아 퓨전이라는 수식어도 우리 귀에 익숙하게 될 것이다. 요즘의 퍼지처럼.최초의 퓨전관련 논문은 입력 출력이 여러 개인 NN에 ... ...
2. 퍼스널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IBM PC 호환기종을 주로 생산하고 있는 국내업체들은 설계기술이 취약해 비싼 로열티부담을 안고 있다.컴퓨터를 일반인이 폭넓게 사용하게 된 것은 10년 정도에 불과하다. 제2차세계대전 말기인 1945년 펜실베이니어대학에서 세계최초로 프로그램의 변경에 의해 계산을 할 수 있는 컴퓨터 에니악 ... ...
수직막대에서 전자주사 안테나로 진화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현대는 엄청난 정보를 실어 나르는 전파의 홍수시대. 범람하는 전파속에서 유용한 전파만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최
첨단
안테나 기술이 필요하다.전파(전자파)란 무엇 ... 전파빔의 방향을 컴퓨터로 제어하기가 편리한 페이즈드 어레이안테나는 미래의 최
첨단
안테나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감은 있으나 기본적으로 이러한 논리를 바탕으로 할 때 불가피하게 대두되는 것이
첨단
생명과학 기술인 유전공학의 윤리성에 관한 문제다.두개의 생명관생명현상을 화학반응식이나 수식으로 완전히 설명할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생명이란 물질수준에서 해석될 수 없는 신비성을 갖는 것인가.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