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상 안전의 첫 걸음은 바다를 이해하는 것”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플랜트든 정말 크잖아요. 구조물 자체의 크기도 그렇고 산업 규모도 크고요. 아주 다양한
분야
의 학문이 모두 조화롭게 이뤄져야 하나의 결과를 낼 수 있는 복합적인 구조물이죠. 그렇기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몇 년에 걸쳐 작업을 진행해요. 같은 나라 사람이면 그나마 수월하지만 다른 나라 ... ...
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현재 언니는 내과의사로 일하고 있고 동생은 제약회사 연구원이다. 생명과학 쪽
분야
를 택한 이유를 묻자 언니 서영 씨가 “고등학교 때부터 둘 다 수학, 생물은 잘했지만 국어와 물리는 젬병이었다”고 답했다. 쌍둥이 자매가 달라진 것은 대학에서다. 언니는 테니스 동아리를 하며 활동적인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세포 자체의 특징 때문에 실험실에서 세포를 배양하기도 어렵다. 사람과 직접 연관된
분야
가 아니다보니 관심도 적다. 그럼에도 우리는 식물의 놀라운 유연성을 계속 연구해야 한다. 멘델이 완두콩에서 현대 유전학의 토대를 다졌듯, 어쩌면 식물의 후성유전적 강점이 후성유전학의 새로운 시대를 ... ...
쉬운 일을 어렵게 하는 매력, ‘골드버그’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왜 어렵게 한다는 말인가. 하지만 일단 해보면 헤어나올 수 없는 ‘느림’의 미학이 있는
분야
가 있다. ‘쓸데없는 고퀄’이 미덕으로 칭송 받고, 복잡하고 엉뚱할수록 찬사를 받는 기계, 골드버그 장치다. 골드버그는 19세기에 태어난 미국의 카툰 작가 루브 골드버그의 이름을 딴 장치다. 원래 ... ...
[수학뉴스] 사회적 연결망에서는 작은 고추가 맵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마케팅 전략을 세울 때도 필요하지요. 연구팀은 집단 영향력 알고리즘이 다양한
분야
에 쓰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7월 1일자에 실렸습니다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탄생했다. 이러한 장점으로 브릭은 시간이 갈수록 아이는 물론 어른도 관심을 보이는
분야
로 자리매김했다.사람보다 다양한 인형브릭은 종종 건물이나 문화 유적, 유명한 영화 속에 등장하는 거리나 인물을 재현하는 도구로 활용된다. 각 나라를 대표하는 유명 관광지는 대부분 브릭 모형이 있을 ... ...
[생활] 수학으로 사랑을 이해할 수 있을까? 네이든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즐기고 있나요?영화에는 수학에 재능이 있는 사람이 여럿 나온다. 하지만 모두가 수학
분야
에서 성공하고 꿈을 이룬 건 아니었다. 험프리스 선생은 국가대표로 올림피아드에 출전할 만큼 뛰어났지만 병이 심해져 꿈을 포기한 채 살고 있었다. 그와 함께 수학을 공부했던 리차드 선생은 스티븐 호킹과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알게 된 건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경험은 어떻게 저장되고 전달되는가송 : 이렇게 여러
분야
에서 증거가 있는데도 아직 논란이 일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노 : 경험과 기억의 유전은 아직 두 가지 부분을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경험하고 학습한 것이 어떻게 우리 몸에 기록되는가’와 ‘기록된 ... ...
아내에게 바치는 마지막 논문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연구 경험을 쌓았다.도 교수가 이번에 발표한 논문 역시 수지상세포와 관련된
분야
다. 연구팀은 수지상세포의 한 종류가 또다른 면역세포인 T세포를 ‘폴리큘라 헬퍼 T세포(Tfh세포)’로 바꾸는 과정을 발견했다. Tfh세포는 기억면역을 책임지는 B세포의 분화를 돕는 면역세포로 지금까지 정확한 발생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남북한의 용어 차이를 지속적으로 수집․파악하고, 전문
분야
간의 상이한 용어를 표준화하는 전문 기구가 필요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런 노력이 통일 시점까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한다는 사실이다. 한 번 벌어진 남북 간의 용어 간극은, 지금도 계속 커지고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