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식
하느님
군
현
주님
주예수
주간
d라이브러리
"
주
"(으)로 총 3,608건 검색되었습니다.
패션70s VS 패션00s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사뭇 달라지지 않을까. 염료가 담긴 거대한 기계 대신 디지털 염색용 프린터가 설치되고,
주
인공 디자이너들은 손에 초크 대신 마우스를 쥐고 있을 것이다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
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우
주
왕복선 디스커버리가 올해로 21세가 됐다. 2010년 퇴역을 앞두고 있으니 우
주
선 가운데 ‘노장’인 셈. 지금 노장의 어깨는 무겁다. 2003년 2월 1일 컬럼비아가 임무를 ... 우
주
왕복선 다시 우
주
로 향하다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미션 투 스페이스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
주
행진 ...
귀신 잡는 첨단 해병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지난 6월 21일 오후 경북 포항시 해병대교육훈련단에 해병 1000기 509명이 입소했다. 과거 해병대가 불굴의 정신을 바탕으로 온몸을 던져 싸웠다면 미래 해병은 나노, ...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장 큰 목표다. 오브젝티브 포스 워리어는 세부 계획 중 하나로 총기 강화를
주
된 목표로 하고 있다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올 4월 팔다리가 마비된 척수손상 환자에게 탯줄혈액에서 얻은 중간엽줄기세포를
주
입했더니 요즘 허리에 힘이 생기는 등 일부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 발표했다.서울대 의대 서유헌 교수는 “중증 치매 환자는 줄기세포 이식해도 완치는 어렵다”고 말한다. 지금도 뇌 좁은 부위에서 신경세포가 ... ...
허풍을 마시는 음료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말했다. 폴링 교수는 비타민C가 감기에 효과가 있고 많이 섭취할수록 좋다고
주
장했다. 하지만 지난 5월 국내 대한의학회와 대한의사협회에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실제로 비타민C는 감기에 효과가 미미하다고 한다.드링크의 ‘허풍’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알칼리성 이온 음료는 실제로 pH 4. ... ...
우
주
에 아리랑 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KOMSAT) 1호도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아리랑위성은 국가의 수요에 따른 위성영상 확보가
주
목적이다. 이 밖에 한국 최초의 상용통신 및 방송위성인 무궁화위성(KOREASAT) 1호(1995년), 2호(1996년) 그리고 3호(1999년)가 발사됐다.지난 5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확정한 안에 따르면 2010년까지 모두 13기의 ... ...
검은 조직 '까마케롬다만드러'의 음모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행동은 하지 않겠지? 그냥 눈으로 보고 맞혀 보아라. 정답을 맞힐 기회는 단 한 번만
주
겠다.” 움직이는 그림자는 어디에?“그래…. 썰렁 홈즈가 눈썰미는 있군. 그럼 조금 더 복잡한 문제를 내 볼까? 다음 그림처럼 길이 80㎝ 책상에 두 개의 양초가 놓여 있다. 책상 가운데에 있는 양초는‘한 시간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필요하다. 따라서 물리학의 자성체 모델을 비롯한 ‘다체론’과 같은 근본적인 이론들이
주
요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이론적 방법론은 자유롭게 움직이는 작은 개체들이 모여 이뤄진 거시적인 시스템에서 그 전체적인 행동을 결정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밝혀준다.예를 들어 1차 시각피질의 ... ...
우
주
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뜻한다
주
로 마이크로파에서 사용되며 자기화된 페라이트 등 자성체의 강자성공명
주
파수 부근의 패러데이효과에 의한 자기투과율 텐서의 비대칭성을 이용하여 만든다 마이크로파 통신장치에서는 발진기의 출력선로에 넣어 외부 회로의 반작용을 억제할 때 등에 사용된다 플라스틱 카드에 일부 ... ...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기생충은 생태계의 균형을 조절한다. 지금은 ‘기생’으로 불리지만 사실은 서로 이익을
주
고받으며 ‘공생’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생물이 수컷과 암컷으로 성이 나눠진 것도 기생충과 병균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는 생물학 이론도 있다. 미래에는 기생충이 애완동물 만큼 인간의 사랑을 받을지도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