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책"(으)로 총 3,5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정거장서 초파리 1000마리와 뒹군다과학동아 l2007년 02호
- 하고 카메라 앞에서 얼굴 사진을 찍었다. 이 카메라는 한서대 조용진 교수가 개발한, 책 크기에 900g짜리 소형 등고선 촬영장비다. 지구에서 다리 쪽에 몰려있던 체액이 무중력 우주공간에서는 골고루 퍼져 얼굴이 붓고 눈이 튀어나온다. ‘서양인보다 동양인의 얼굴이 더 많이 붓는다고 하는데, 내 ... ...
- 놀이가 영재가 되는 지름길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2호
- 어떻게 공부할까요? 한시도 책상에서 떨어지지 않고 열심히 책만 볼까요? 아닙니다. 영재들은 신나게 놀면서도 공부를 한답니다. 놀이야말로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이니까요. 못 믿겠다고요? 실제로 과학체험놀이를 통해 영재성을 키우고 있는 친구들을 보고 나면 생각이 ... ...
- 놀이공원은 살아있다 .! 힘이 있으니까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2호
- 눈에 보이는 힘보다 보이지 않는 힘이 더 많다. 우리는 지구로부터 힘을 받고 있다. 책 위에 쓰인 글씨와 종이 사이에도 힘이 있다. 밥을 먹을 때, 공부를 할 때, 잘 때, 우리 주변에서는 보이지 않는 힘이 바쁘게 움직인다.물체가 힘을 받으면 어떻게 될까?▲자전거 페달에 힘을 주면 자전거가 씽씽 ... ...
-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과학동아 l2007년 02호
- 지구 중심의 우주구조와, 이에 기초한 천체운동의 원리와 계산법이 총망라돼 있다. 이 책은 9세기 초 아랍어로 번역되면서 ‘알마게스트’(Almagest, 위대한 책)라는 별칭을 얻으며 이슬람 천문학의 경전이 됐고 12세기에는 유럽에서 라틴어로 번역됐다. 알마게스트는 코페르니쿠스가 태양중심설을 ... ...
- 루브르 박물관전에 가다과학동아 l2007년 02호
- 레오나르도 다빈치. 그는 자신의 책 ‘회화론’에서 “당신이 수학자가 아니라면 내 책을 읽지 마시오”라며 첫 구절을 시작했다. 어찌 보면 황당한 주문일 수도 있지만 수학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사람이라야 회화에 대한 이해도 가능하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2차원 화폭에서 3차원의 ‘환영’을 ... ...
- 과학자와 인문학자의 모임 eum이음과학동아 l2007년 01호
- 끄집어낸다.이음의 첫 결과물은 1월 말경 나온다. 심포지엄에서 발표한 내용을 엮어 책으로 출판한다.후속 작업으로 미국 예일대에서 출판한 서적 ‘다윈의 대답’(Darwinian Left)을 번역하고 있다. ‘나은 정과 기른 정은 다른가?’ ‘변하지 않는 인간의 본성이 있는가?’ 등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을 ... ...
- 산소요정의 왕자님 살리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1호
- 먹으면 숨쉬기가 힘든 이유도 음식물이 횡격막을 눌러 숨쉬기를 방해하기 때문이다.왜 책만 펴면 하품이 나는 걸까?하품은 뇌에 산소가 부족해서 반사적으로 일어나는 심호흡이다. 쉬지 않고 공부를 하거나 계속 한 곳에 집중하면 뇌가 피로해지면서 산소가 부족해 하품이 난다.담배를 피우면 ... ...
- 괴짜들이 만났다!과학동아 l2007년 01호
- 한 사람에게 돈을 주기 시작하면 대가를 지급하지 않을 때보다 헌혈자가 준다. 공공의 책임감 같은 이타성이 작용해 기꺼이 헌혈을 하던 사람들에게 돈을 지급하면 시장의 논리에 따라 헌혈에 가격을 매기게 되고, 이때 가격이 충분하지 않다고 느끼면 자연스럽게 헌혈 횟수를 줄인다. 인간의 본성이 ... ...
- 전쟁에 지면 달력도 없다과학동아 l2007년 01호
- 600년에 돌아오는 황금돼지라는 말은 말짱 거짓말이다. 600년만의 황금돼지해는 명리학 책에도 없다.사주팔자란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 사람은 연월일시에 간지의 규칙을 부여해 특정한 시간은 특정한 운명의 지배를 받는다고 여겨왔는데, 이 관습적인 심리를 이용해 100년만의 쌍춘년이나 60 ... ...
-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젊었는지, 남자인지 여자인지도 말할 수 있지만 그 사람이 누구인지는 모른다. 밥도 먹고 책도 읽고 TV도 보지만 사람의 얼굴은 몰라본다. 왜 그럴까.65억명(2006년 2월 기준) 세계 인구의 얼굴은 모두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개인의 얼굴을 정확히 인식한다. 양은 5마리만 모여 있어도 어떤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