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탐사"(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 2. 바닷속 파이어니어 심해탐사정과학동아 l1996년 03호
- 한반도 주변에는 그리 깊은 바다가 없다. 그래서 얼마나 깊은 바다에 들어가는 탐사정을 개발하는가는 과학적인 기술력 확보와 상징적인 의미를 빼면 실질적으로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이 이 분야 전문가들의 말이다. 오히려 심해저 망간단괴를 개발하고 대륙붕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에 맞는 것'을 ...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과학동아 l1996년 03호
- 채집한 표본이 무엇인지 알아내는 것도 힘들 때가 많았다.1970년대에 들어서서 심해탐사는 대서양과 태평양의 많은 새로운 장소로 확장됐다. 이 연구들 역시 놀라운 결과를 얻어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에서는 표본 채취의 부정확성을 들어 계속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속도와 시간을 달리해 ...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과학동아 l1996년 03호
- 전형적인 시나리오다.지난해 말부터 허블우주망원경은 특별히 행성상성운을 집중적으로 탐사해 왔다. 최근 허블우주망원경이 선보인 CRL2688 MyCn18 NGC7027 등 3개의 행성상성운은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줄 뿐 아니라 별의 마지막 진화과정을 밝히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MyCn18은 ... ...
- 우주 수수께끼 아기별의 탄생과학동아 l1996년 01호
- 도착했다. 갈릴레오의 탐사구가 목성의 상층대기를 뚫고 진입하는 역사적인 순간이다.탐사구가 진입한 지점(화살표)은 1백10m/초의 속도로 강한 바람이 불고 있었다. 이에 반해 북쪽 백반쪽은 6m/초의 속도로 느리게 움직였다. 오른쪽 이미지는 10월 4일 시간 간격을 두고 촬영한 진입예정 지점으로 ... ...
- PART Ⅱ. 무한한 가능성에 도전한다 초능력5과학동아 l1996년 01호
- telepathy) 투시(Clairvoyance) 정신감응(psychometry) 예지(precognition) 과거인지(retroconition) 수맥탐사(dawsing) 등이 이에 속한다.■초물리적 현상물리적인 변화를 수반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염력(念力: psychokinesis, PK) 공간이동(teleportation) 공중부양 염사 ...
- 5. 고전적인 지하자원 탐색기법 다우징과학동아 l1996년 01호
- 사용한다. 이 동자추를 사용하면 탐사영역을 훨씬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맥을 탐사하려는 지역에 굳이 가지 않고 그 지역의 지도상에서도 동자추는 정확하게 한 지점을 가리킨다. 실제로 그 지역에 가서 확인하면 지하에 수맥이 존재한다.지도를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해, 많은 ... ...
- 29억년의 신비 화석으로 본 한반도 역사과학동아 l1996년 01호
- 석유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특히 포항 연일지역은 유공층 화석이 발견돼 석유 탐사가 계속되고 있다. 신생대에는 바다에서 사는 동물화석이 발견되는데, 이것들은 삼각주와 같은 퇴적층에서 생긴 것들이다. 이밖에도 식물화석과 포유동물의 화석들이 발견된다.지금까지 각 시대별로 지층이 생긴 ... ...
- 한국의 우주 개발과학동아 l1995년 12호
- 1호의 시련을 딛고 무궁화 2호가 발사된다. 여기에 과학기술처가 우주발사센터와 월면 탐사 등의 비책을 발표해 우주시대는 더욱 현실로 익어가고 있다. 그래서 우리별로부터 무궁화, 아리랑으로 이어지는 위성 개발과 한·미간에 첨예한 문제로 떠오르는 위성발사체 등 세계 10위를 내다보는 한국 ... ...
- 4. 우주개발의 원천 로켓과학동아 l1995년 12호
- 항공우주 연구소는 1993년에 2회에 걸쳐 발사된 1단형 과학탐사 로켓에 이어, 2단형 과학탐사 로켓을 과학기술처의 국책연구 과제의 일환으로 개발 중에 있다. 이 2단형 중형과학 로켓은 1997년에 발사 예정이다.한국과학기술원과 천문대가 과학실험에 참여하는 이번 과학로켓은 저고도 이온층의 ... ...
- 2. 한국우주개발의 신호탄 우리별과학동아 l1995년 12호
- 제작하는 능력을 확보하는 데 두었다. 또한 이렇게 개발된 본체를 이용해 고급원격 탐사 탑재체와 우주과학 탑재체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태양전지판의 전개를 통해 전력 발생량을 확대하고, 3축 자세 제어를 하고, 고데이타 송신기능을 추가한 것부터가 우리별1,2호와는 크게 다르다. 우리별1,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