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뉴스
"
지구
"(으)로 총 7,057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탐사선 파커호, 인류 우주선 최초로 바깥 대기 코로나 통과
연합뉴스
l
2021.12.15
5시간에 걸쳐 코로나 속을 비행했다. 알벤 임계표면을 빠져나온 태양 물질이 태양풍이 돼
지구
를 비롯한 태양계에 영향을 미치는데 지금까지는 680만∼1천400만㎞에 있을 것으로 추정만 할 뿐 정확한 위치를 알지 못했다. 논문 제1 저자인 미시간대학의 천체물리학자 저스틴 캐스퍼 교수는 "조만간 ... ...
우주 날씨 관측하는 세계 첫 나노위성 편대 '도요샛' 내년 상반기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현재까지 수수께끼”라며 “세계 최초로 시도되는 나노위성 4기의 편대비행 관측으로
지구
주변 우주환경 연구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라고 밝혔다. ... ...
제주 해역 4.9 규모 지진 발생...여진 1년 갈 수도(재종합)
2021.12.15
정도는 아니다. 단층도 옆으로 움직여 해일 가능성이 낮다"고 밝혔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
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지금까지 제주도에 큰 지진이 많지 않았지만 최근 제주도 서쪽 해안에서 규모 2~3 지진의 밀도가 높았다”며 "최근 빈도가 많이 늘어 큰 지진이 있을수도 있겠다고 생각하는 도중 ... ...
제주 인근서 규모 4.9 지진 전남북까지 '흔들'…"규모 3 여진 가능성"(종합)
2021.12.14
내에서 발생한 지진 중 가장 큰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 제공. 홍태경 연세대
지구
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지금까지 제주도에 큰 지진이 많지 않았지만 최근 제주도 서쪽 해안에서 규모 2~3 지진의 밀도가 높았다”며 "최근 빈도가 많이 늘어 큰 지진이 있을수도 있겠다고 생각하는 도중 ... ...
큰 지진 없던 제주에 규모 4.9 지진…원인 파악 중
2021.12.14
지진이 최대다. 규모 2~3사이 지진은 23차례, 3~4 지진은 7차례 관측됐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
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지금까지 제주도에 큰 지진이 많지 않았지만 최근 제주도 서쪽 해안에서 규모 2~3 지진의 밀도가 높았다”며 "최근 빈도가 많이 늘어 큰 지진이 있을수도 있겠다고 생각하는 도중 꽤 ... ...
NASA ,2022년 기후변화 감시할 4개 임무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4
'합동극지위성시스템(JPSS)' 임무는 극궤도 위성(사진)을 통해 전
지구
의 온도와 수분, 해수면 온도 등을 정확히 측정하고 극한 기후현상 ... 임무를 통해 변화하는
지구
를 관측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NASA의 2022년
지구
기상관측 새 임무 4가지를 소개한 영상이다. NASA 제공 ... ...
남극 '
지구
종말의 날 빙하' 금 간 자동차 유리와 같은 상태
연합뉴스
l
2021.12.14
빙하가 완전히 녹아내리는
지구
종말 시나리오는 수세기 뒤의 일로 여겨져 왔지만
지구
온난화에 더 빨리 반응하면서 5∼10년 안에 극적인 변화를 겪을 것으로 지적했다. 오리건주립대학의 빙하학자 에린 페티트 부교수는 얼음 아래로 따뜻한 물이 유입되면 기반암 위에 놓여 안정적이던 빙하가 ... ...
"공룡들의 마지막 봄"…공룡대멸종 칙술루브 소행성 봄에 충돌
연합뉴스
l
2021.12.13
FAU)에 따르면 이 대학
지구
과학과 겸임교수 로버트 드팔머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지구
역사상 세 번째로 큰 대멸종을 가져온 칙술루브 소행성의 충돌 시기를 봄으로 제시하는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발표했다. 생물은 계절에 맞춰 번식하고 먹이 전략이나 ... ...
LEO는 지금 민간 우주정거장 건설 붐
동아사이언스
l
2021.12.13
제작 외에도 로봇, 소프트웨어, 우주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됐다. 중국도 이런
지구
저궤도 상업화 흐름을 간파하고 2022년말 완공을 목표로 텐궁 우주정거장 건설을 서두르고 있다. 러시아 로스코스모스(연방우주국)도 오는 2025년 ISS에서 일단 철수하지만 정치적 결정만 내려지면 2030년쯤 ... ...
[기고] 글래스고 기후변화 총회가 남긴 숙제
2021.12.13
대표들이 회의장 안팎에서 목소리를 높였다. 오늘의 기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지구
에 내일은 없기에, 청소년은 더 이상 내일의 주역이 아니라 오늘 벌어지는 기후 논의의 주역이 되어야 한다는 논리가 큰 호응을 얻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청년기후서밋의 정례 개최 구상이 각국으로부터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