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스페셜
"
모습
"(으)로 총 2,680건 검색되었습니다.
힘들어도 쾌활한 척하면 정말 기분이 좋아질까
2017.09.17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부정적 정서를 덜 느끼는 등 힘든 일의 영향을 덜 받는
모습
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 인종, 사회경제적지위 등과 상관 없이 나타났다. 2주 간 매일매일의 스트레스와 그에 대한 반응을 추적조사 했을 때도 자신의 감정을 잘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하는 생각이 들었다. 솔직히 천변의 많은 식물들이 나팔꽃 덩굴 등쌀에 숨막혀하는
모습
처럼 보이기도 한다. 담장에 예쁘게 피어있는 다소곳한 나팔꽃 이미지와는 거리가 좀 느껴진다. 집에 와서 이유미 국립수목원 원장이 남편 서민환 국립환경연구원 연구관과 함께 쓴 ‘어린이가 정말 알아야 할 ... ...
수 천만 개의 원자가 하나처럼 움직이는 때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9.10
읽는 과학_사이언스]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격자에 갖춰 얼어있는 듯한 원자의
모습
을 그린 일러스트가 장식했다. 파란 원은 움직이지 않는 상태의 원자, 빨간 원은 움직이고 있는 원자를 나타낸다. 항상 각자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던 원자가 특정 상황이 되면 규칙적인 움직임을 ... ...
지금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
2017.09.09
과거와 미래의 걱정에 빠져 정작 눈 앞에 놓여진 시간을 충실히 살아내지 못하는
모습
을 보인다. 이렇게 마음이 혼자 정처없이 떠돌아 다니는 현상은 사람들로 하여금 눈 앞에서 벌어지는 일을 놓치게 만들고, 일어나지 않은 일이나 이미 지나간 일을 걱정하느라 유일하게 내 힘으로 어떻게 통제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설사 우리 은하에 있더라도 맨눈으로는 결코 보일 일이 없는 백색왜성이 신성으로
모습
을 드러낸다. 고전 신성은 실록에 묘사된 것처럼 2주 정도 지나면 다시 사라진다. 한편 폭발력이 약해 밝기가 덜한 ‘왜소 신성(dwarf nova)’이 있다. 이 경우 최대 밝기가 평소보다 2~6등급 올라가는데 그치기 ... ...
식물의 ‘잎 크기’ 결정하는 요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9.03
제공 [표지로 읽는 과학-사이언스] 한 여인의 손이 거대한 이파리를 쥐고 있는
모습
이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에 등장했다. 이 식물은 봉래초라고도 불리는 덩굴식물 몬스테라다. 몬스테라는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는 식물로 다 자란 잎은 지름이 1m에 달할 정도로 거대하다. 군데군데 파여 ... ...
휴가는 당신을 얼마나 행복하게 했나요?
2017.09.02
정도 더 행복한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이들도 2주 후에는 역시 원래의 행복도를 되찾는
모습
을 보였다. 어쩌면 우리가 휴가를 즐겁게 생각하는 것은 휴가를 가기 전 준비, 기대와 상상의 과정의 즐거움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휴가의 시간은 짧지만 이를 준비하며 꿈에 부푸는 시간은 몇 달이 될 수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파트너 수가 크게 늘고 있다는 것이다. 필자가 젊은이이었던 한 세대 전만해도 이런
모습
은 서구사회의 일이었지만 이제는 우리나라도 일상이 됐다(유교문화 때문에 차마 고등학교에서 콘돔을 나눠주지는 않고 있지만). 결국 여성이 괜찮은 남편을 만날 때까지 ‘정숙하게’ 지내는 건 여성의 ... ...
백인우월주의자는 어떤 성향의 사람들인가
2017.08.26
모습
에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가 놀라움을 금치 못한 일이 있었다. 뉴스를 통해 이들의
모습
을 지켜보면서 이들은 과연 어떤 사람들인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GIB 제공 다행히도 바로 얼마 전 이들에 대한 연구가 나왔다. 연구자 Forscher와 Kteily는 447명의 극우와 382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엉킨 바다거북의
모습
이고 오른쪽은 플라스틱 조각을 집으로 쓰려고 하는 소라게의
모습
이다. -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 플라스틱 제조 누적량은 83억 톤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7월 19일자에는 지금까지 인류가 만든 플라스틱의 양과 현재 상태를 추정한 논문이 실렸다. 미국 산타바바라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