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분리할 수가 있다 고분자로서 화학적 · 전기적 · 기계적으로 특이한 성질을 가진 수지
기능
성고분자라고도 한다 지구상의 기압분포에서 위도 30도 부근을 중심으로 몇개의 독립된 단위로 분열돼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아열대 고압대(亞熱帶高壓帶) 화석두족류(化石頭足類) 중 고틀랜드기(紀)에서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가해진 전압에 따라서 소스에서 드레인으로 전류를 흘려주거나 끊어주는 스위치
기능
을 한다. 특정한 조건에서만 전류를 흘려주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논리적인 연산을 할 수 있다.반도체칩 기술은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높이고 소자 크기를 축소해 집적도(단위면적당 트랜지스터의 개수)를 ... ...
노벨문학상 수상자 암 치료한 차가버섯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살다 보니 나무의 리그닌이나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면서 버섯 자체에 항암 작용을 하는
기능
성 물질을 축적하기 때문이다.눈 쌓인 깊은 산속에서 나무와 겨울을 나는 다년생버섯을 찾아다니다 보면 말굽을 닮은 말굽버섯, 나무줄기에 발라놓은 진흙 같은 진흙버섯, 수평으로 퍼져 원숭이가 앉아 놀기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아니라 다른 생체 분자와 결합해 세포를 보호하거나 세포 사이의 교신을 조절하는
기능
을 한다. 당생물학(Glycobiology)은 인체의 생로병사를 관장하는 당을 연구하는 분야로 1990년대 중반부터 주목받기 시작했다.조 교수는 당뇨병 환자들이 치명적인 합병증에 시달리는 원인을 밝혀 2006년 10월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중요 원인은 소뇌 뇌간(小腦腦幹)의 질환, 뇌순환 장애 등이지만 전정신경(前庭神經)의
기능
장애와 내이(內耳)의미로 기관의 평형감각이 상실되었을 때에도 일어난다 일반적인 위상공간에서 p를 포함하는 개집합(이것을 p의 개근방이라 한다) 전체는 기본근방계이다 소립자이론에서 물질 구조의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즉 ‘상을 받게 된다’또는 ‘연인과 헤어질 예정이다’같은 상황을 설정했다.
기능
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의 활동을 분석한 결과 긍정적인 상황을 생각했을 때 편도체와 전두대상피질에서 혈류량이 많았다. 이곳의 신경회로가 활발히 작동한다는 의미다. 우울한 상황일 때는 두 부분 모두 ... ...
돌연변이 생쥐로 뇌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한편 간질이나 정신분열증, 운동장애 등 다양한 신경계 관련 증상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기능
이 좀 더 명확히 밝혀짐에 따라 이를 토대로 한 신약개발도 뒤따를 전망이다 ... ...
세계 IT 트렌드의 현장, 소비자가전 전시회(CES) 2008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TV를 인터넷에 바로 연결해 최신 영화를 골라 볼 수 있다.TV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기능
을 얹어 새 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다양한 제품이 등장했다. 무선인터넷으로 실시간 교통정보를 받을 수 있는 자동차 내비게이션과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와 게임기가 눈에 띄게 늘었다.휴대전화의 경우 ... ...
인간광우병 공포 누그러뜨린 프리온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특정한
기능
을 하는 단백질이 된다. 이 과정에 문제가 생겨 잘못 접혀진 단백질은
기능
을 못하거나 프리온처럼 엉뚱한 짓을 한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두 가지 프리온 단백질을 섞어 놓으면 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이 정상 단백질의 구조를 변형시켜 자신과 똑같이 만들어버린다는 것. 드라큘라에 물린 ... ...
불타는 나의 로봇 본능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정 군은 2008년 로봇디자인 공모전에 도전하기로 결심했다. 지금까지 로봇의 디자인은
기능
에 밀려 별로 주목받지 못했지만 곧 사람들이 탐낼 만한 디자인의 로봇이 등장할 거란 생각에서다. 그는 KAIST 기계공학과 오준호 교수가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에 대해 “나라면 아예 곡선 위주의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