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GPS 없이 움직이는 ‘개미 로봇’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고를 막을 수 있는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로보틱스’ 2월 13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robotics.aau030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2017년 4월 12일, 전 세계의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Event Horizon Telescope)’ 프로젝트 참여자들은 오랜만에 편안하게 잠자리에 들 수 있었다. 다가올 데 ... 책임연구원으로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 한국 책임자를 맡고 있다. 과학기술연합대학원(UST) 교수로도 활동 중이다. bwsohn@kasi.re ...
- [핫이슈] AR을 찍자 눈앞에 한자가 나타났다! 마법천자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표지를 찍어 보세요! ● 한자, 증강현실로 배워요! 1월 9일, 증강현실(AR) 기술을 도입한 개정판이 출간됐다. 마법천자문 공식 앱(마공앱)을 내려받은 후, 책 속 한자마법을 비추면 화면에 현실세계와 결합된 한자마법이 나타난다. 스마트폰에서 한자를 따라 쓰는 것은 물론, 한자의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100시간이 넘는 연습을 해야 손도끼를 만들 수 있다고 하죠. 미국 에모리대학교 구석기기술실험실의 디트리히 스타우트 교수는 직접 석기를 만들며 실험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의 뇌가 석기를 만들면서 발달했다고 주장했답니다. 1780년, 영국의 약사 윌리엄 배시는 배를 움직이는 기계를 만들고 ... ...
- [과학뉴스] 3D 프린터로 척수 임플란트 제작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연구진이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척수 손상을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 마크 투진스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신경과학과 교수팀은 3D 프린터로 제작한 척수 치료용 인공 임플란트를 척추 부위에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의학’ 1월 14일자에 발표했다 ... ...
- Part 2. SPORTS, ENERGY, VITAMIN, COFFEE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심장과 신장 건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김영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팀은 타우린이 치매 증상을 치료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014년 12월 12일자에 발표했다. doi:10.1038/srep07467 연구팀은 ... ...
-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울음소리를 분석하는 AI ‘딥꼬꼬’도 개발됐다. 웨인 데일리 미국 조지아공대 농업기술연구소 수석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닭의 울음소리 패턴을 분석하는 AI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2014년 12월 국제 신호정보처리학회인 ‘IEEE 세계 신호 및 정보처리 컨퍼런스(Global SIP)’에서 발표했다. 식용 닭은 ...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중국의 우주 기술은 급작스럽게 성장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중국은 오랜 기간 우주 기술을 차곡차곡 쌓아왔다. 부침도 있었다. 1970년 첫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했지만, 우주선을 이용한 다음 비행 계획은 보류됐다. 1978년 당시 덩샤오핑 중국 주석이 중국의 우주 정책에 대해 “개발도상국으로서 ...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 원자 하나하나 제어해 고온 초전도체 원리 밝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그 옆 모니터에 나타난 노란색 알갱이들이 눈길을 사로잡았다. 서정필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는 “고온 초전도체를 원자 단위로 분석할 수 있는 터널링 주사 전자현미경(STM·Scanning Tunneling Microscope)”이라며 “모니터에 보이는 노란색 알갱이 하나가 금속 원자”라고 말했다 ... ...
- [INTERVIEW] 사람이 좋은 수학자, 천정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1조 원에 달한다. 이처럼 수학 이론으로 산업 현장에서 쓸 수 있는 원천 기술을 만들고 이 기술이 실제로 쓰이는 걸 보는 게 천 교수의 꿈이다. 학계나 산업 현장에 있는 사람을 만나면 연구 의지가 생긴다는 천 교수. 앞으로 어떤 연구로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을 줄지 기대된다 ... ...
이전2242252262272282292302312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