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범인 잡는 미세증거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CCTV 분석 등 (…중략…) 국과수에는 의사만 있는 것이 아니에요. 국과수가 꿈이라면
생명
공학이나 화학을 전공하는 게 좋아요. 대학원 석사과정까지는 필수로 밟아야 합니다. (…중략…) 국과수에 대한 변함없는 믿음을 갖고 바라봐주시는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보답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유도하는 기술이다. 이 연구를 하고 있는 이필승 카이스트 해양시스템공학전공 교수는 “
생명
체를 닮은 로봇을 만드는 것보다 생물체 자체를 조종하는 게 여러 면에서 훨씬 효율적”이라며 “수억 년 동안 진화를 거듭해 온 생물의 에너지 생산 메커니즘을 로봇의 배터리가 따라올 수 없다”고 ... ...
시조새는 여전히 진화의 증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진화론이 빠진 것도 아니고, 창조론이 들어간 것은 더욱 아니지만 파장은 컸다. 성균관대
생명
과학과 윤환수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이런 일이 일어날지는 상상하지도 못했다”며 “외국의 동료들이 이 사실을 알까봐 걱정된다”고 말했다.그러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가 이번 사태와 관련해 ... ...
과학동아 청소년 정기자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실망하지 마세요. 하반기에도 기회가 있답니다. 정기자 임명장 수여식은 8월 초, 한국
생명
공학연구원에서 하는 체험 프로그램과 함께 진행됩니다. 자세한 일정은 개별 연락합니다 ... ...
가로수 오디션의 주인공, TOP10을 공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말합니다. 저는 우리나라 국화인 무궁화입니다. 원래 키가 작은 것이 콤플렉스였는데,
생명
공학 기술의 발달로 키도 키우고 꽃도 개량할 수 있었습니다. 가로수 오디션에는 처음 참가합니다. 아직도 후보 가로수 중 가장 키가 작지만 잘 부탁합니다! 저는 ‘학자나무’로 불리는 회화나무입니다.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날 자신의 인권을 주장한다면 어떻게 될까. 일본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에는 스스로
생명
임을 주장하며 망명을 신청하는 인공지능이 나온다. 이러한 기계들에게 우리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는 앞으로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다만 앨런 튜링 자신은 이러한 인공지능을 생각할 수 있는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전에 살았다. 이 수치는 아직 정확하지 않다. 2011년 6월에는 이탈리아 로마 라 사피엔자대
생명
공학과 풀비오 크루시아니 교수팀이 아담이 대략 14만 2000년 전에 살았다는 내용의 논문을 ‘미국 인간 유전학 저널’에 발표했다.Y염색체의 계보는 흥미로운 사실을 많이 알려준다. ‘아담의 저주’라는 ... ...
컴퓨터과학의 아버지, 알란 튜링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튜링을 ‘컴퓨터과학의 아버지’라고 부르는 게 당연하지요? 암호 해독으로 수많은
생명
을 구하다킹스칼리지에서 컴퓨터의 기초를 닦은 튜링은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1939년 제2차 세계대전이 터지자 ‘블레츨리 파크’라는 영국 정부의 비밀 시설에서 독일군의 ... ...
편견에서 벗어나고픈 13의 매력 발산!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있다. 아르키메데스 다면체의 형태는 크리스탈 등의 결정이론이나 바이러스 등의
생명
체에 대한 연구, 또는 건축 이론이나 예술 작품에서 활발하게 응용되고 있다.숫자 13은 많은 사람들이 불운의 상징으로 여기지만, 소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제곱수와 관련된 재미있는 성질을 갖고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그래서 친구들에게 이렇게 충고한다. 2042년까지만 죽지 말고 살아 있으라고. 그래서
생명
체의 수명과 미래까지도 설계하는 세상에서 살아보자고.영국에서 날짜 감각을 잊은 채 무심코 신문을 펼치다 보면, 일 년에 한 번씩은 심장이 멎을 듯한 기사를 접하게 된다. 바로 만우절 아침의 기사다.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