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착상
의견
발안
착안
창조력
창의력
d라이브러리
"
아이디어
"(으)로 총 2,546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지도 완성 인간마음 읽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이 논쟁이 무려 2천년 이상 지속되도록 만든 장본인은 아리스토텔레스이다. 그는 호머의
아이디어
를 되살려서 인간의 정신활동은 심장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에게 있어 뇌는 심장에서 덥혀진 혈액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밖에 갖고 있지 않았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잘못된 견해는 뇌를 ... ...
숙주와 기생생물 '군비확대경쟁'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기생생물에 대한 저항력이 높은 상태인 것으로 진단하기 때문이라는 이론이다. 해밀턴의
아이디어
는 북아메리카의 조류와 남아시아의 야생닭을 통해 확인된 바 있다.인공생태계 띠에라한편 미국 델라웨어대학의 토마스 레이는 1990년 기생생물과 숙주의 군비확대경쟁을 완벽하게 보여준 컴퓨터 ... ...
PART.1 두눈 시각차 이용, 환상의 3차원 영상 만든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더했다.한편 무작위 점 입체화(random-dot stereogram)라 불리는 입체기술에 대한 최초의
아이디어
는 베라 유레즈라는 사람에 의해 고안된 것이다. 얼마전 관심을 끌었던 '매직아이'라는 것은 바로 이 무작위 점 입체화를 말하는 것이다. 그는 난수표에서 힌트를 얻어 흑백의 점으로 그려낸 두장의 그림을 ... ...
컴퓨터 시대의 반항아 '사이버 펑크'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생존 가능하도록 생리기능의 일부가 기계로 대치된 인간을 뜻한다.사이보그의
아이디어
에 따르면 우리의 신체가 인공장기로 치환되기 시작하여 마침내 뇌만 남게 된다. 마지막으로 뇌를 컴퓨터로 바꾸면 우리는 완벽한 사이보그가 된다. 사이버펑크 소설이 인기를 끄는 까닭은 인간과 기계가 한 ... ...
1. 현대물리학 혁명 입자·파동 두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각도란 지구의 공전방향에 따라 조금씩 기울어져야 할 것이다. 참으로 혁신적인
아이디어
로 뢰머는 빛의 전파속도를 엄청난 정밀도로 측정해내는데 성공했다.결과는 초속 30만㎞에 가까운 값으로 이는 현대적 장비를 통해 정밀 측정한 값과 그리 큰 차이가 없다. 갈릴레이 뉴턴 뢰머의 시기에 이르러 ... ...
터빈없는 발전기 MHD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열효율은 50% 정도. 두번째로는 액체금속(나트륨)을 작용유체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아이디어
는 액체금속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고속증식로에서 얻어졌다. 액체금속은 전기전도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지만, 압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석터널을 통과할 때 가속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 ...
미래를 여는 복잡성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보여주기도 하지만 무질서에서 자발적으로 질서가 형성되는 반혼돈 특성을 갖고 있다는
아이디어
이다. 카우프만은 이러한 질서가 유전자 때문이 아니라 게놈 조절체계의 구조때문에 자연발생적으로 게놈체계 내부에 존재하는 질서라는 의미에서 부존질서 (order for free)라고 명명했다. 부존질서는 ... ...
PARTⅠ'20세기의 판도라 상자' 핵에너지, 어떻게 탄생됐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얻어 인공방사성 원소에서 원자 폭탄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다리인 원자핵 연쇄반응의
아이디어
를 얻었다는데 있다.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물리학자들이 '20세기의 판도라 상자'를 여는 과정을 살펴보자. 1938년 독일의 화학자 오토 한은 그의 제자인 스트라스만과 함께 '우라늄 핵분열'에 관한 논문을 ... ...
인간은 수명 결정하는 유전자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축낼 뿐 종의 보존에 백해무익하므로 살아남을 이유가 없어서 노화가 진화되었다는
아이디어
이다. 이러한 논리의 밑바탕에는 유기체의 파괴가 유일한 목적인 유전자가 있으며 그 내부에 노화가 미리서 프로그램되어 있다는 암시가 깔려있다. 말하자면 생물은 태어날 때부터 수명을 결정하는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나타난다. 뇌의 활동이 혼돈이기 때문에 뇌가 외부세계에서 유연하게 반응하고, 새로운
아이디어
를 내놓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다른 학자들이 잇따라 신경계의 구성요소에서 혼돈을 발견함에 따라 프리먼교수의 주장은 더욱 설득력을 갖게 되었다.80년대 초에 혼돈이론을 생리학에 적용하기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