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넘은 후에도 인쇄될 정도로 널리 사용되었다.
인류
최초로 세계 일주를 한 ‘마젤란’
인류
가 세계 일주에 성공한 것은 불과 500년도 되지않았다. 1519년 동남아시아로 가는 항로를 개척하기 위해 스페인을 출발한 항해사 마젤란은 대서양을 건너 남아메리카를 지난 후 태평양을 통과해 필리핀까지 ... ...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모습이다.기계가 인간을 지배하는 매트릭스 세상에서 주인공 네오는 자신을 희생해
인류
를 구원하는 메시아가 됐다. 선폭의 한계를 구원할 메시아는 과연 어떤 기술일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30 과학혁명 세상을 바꿀 과학기술 난제에 도전한다 1. 우주 최대 난제 암흑에너지 2. 선폭 ... ...
상상력으로 가득찬 동그라미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내포한다. 인간의 짧은 삶은 우주 전체를 놓고 봤을 때 초라하기 그지없다. 어쩌면
인류
는 머리에서 꼬리로, 다시 머리로 이어지는 반복적인 순환고리처럼 영원한 삶을 동경했는지도 모른다.고대 사람들은 둥근꼴이 영혼이나 하늘과 통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영혼이 무사히 하늘나라로 갈 수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갖게 되어 에링크스도르프 출토 두개화석의 연구를 담당했다28년 프랑크푸르트 대학의
인류
학 교수가 되었으나 34년 나치스 지배하의 독일을 떠나 미국으로 건너갔다동년 베이징의 협화의학교(協和醫學校)에서 베이징 원인(시난트로푸스) 화석을 연구하던 D 브라크교수가 갑자기 죽자 그 후임자가 ... ...
3. 근육 따라 울고 웃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표정이 나라나 인종에 상관없이 보편적이라고 주장했다. 표정은 타고나는 것이며,
인류
초기에 형성된 뒤 진화를 거듭해 보편적인 표정이 만들어졌다는 것이다.1967년 에크먼 교수는 문명과 접촉이 거의 없는 파푸아뉴기니의 남동부 고원지대에 사는 포레족을 찾아갔다. 그는 포레족에게 자신이 ... ...
인디언들은 초신성 폭발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사람들이 보았던 알데바란과 약 1000년 전 폭발했던 초신성의 잔해를 보며 별에 대한
인류
의 상상을 추측할 수 있다. 또 시공을 뛰어넘어 같은 대상을 본다는 동질감도 느낄 수 있다. 오늘밤 별을 보며 고대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눠 보는 것은 어떨까.이달의 천문현상_ 전갈자리의 목성과 화성 1월 ... ...
서대문에 공룡이 나타났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우리 삶의 터전인 지구의 겉과 속을 이해하고, 생명진화관(2층)에서는 태초의 생명부터
인류
까지의 진화과정과 현재 살고 있는 다양한 생명체를 볼 수 있습니다. 인간과자연관(1층)에서는 맹꽁이와 참매미의 노랫소리를 들으며 인간과 자연의 아름다운 공생을 엿봅니다. 2007년1월 2 ... ...
요람을 벗어나, 우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지구는
인류
의 요람이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요람에서 살 수만은 없다.”유리 가가린이
인류
최초로 우주비행에 성공한 지 어언 50년. 마침내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비행사가 결정될 날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여기서 선발된 두 명의 우주비행사 후보는 1년 동안 러시아에서 우주적응 훈련을 받은 후 20 ... ...
화산섬에서 과학과 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보면 생명체가 태어난 것은 2월 17일, 공룡이 지구에 나타난 것은 12월 12일이에요. 최초의
인류
는 12월 31일 오후 2시 29분쯤 탄생했지요. 지구는 많이 늙었는데 사람은 너무 어리다는뜻 입니다. 그렇다면 지구 탄생부터 지금 이 순간까지 지구에서는 어떤 일들이 일어났을까요?이러한 질문에 대답을 해 ... ...
흰 모자를 쓴 화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왜 그렇게 끊임없이 화제에 오를까요? 화성이
인류
의 관심을 끌어온 이유는 여러 면에서 지구와 너무 비슷하여‘제2의 지구’로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맨눈으로 보면 화성은 이름 그대로 붉게, 마치‘붉은 악마의 별’처럼 보입니다. 영어 이름인 마르스(Mars) 또한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전쟁의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